'회의의 바다'에 빠진 중국 ‥ 유람성 회의 작년에 700건

'원산후이하이(文山會海)'(문서는 산처럼 쌓여 있고,회의가 바다를 이룬다) 요즘 중국에서는 '회의의 바다'에 빠져 있다는 자탄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부 부처에서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남부에 있는 하이난성은 '녠후이톈탕(年會天堂)'으로 불린다. 중국 정부와 각종 기관·단체 기업 등의 연례회의 장소로 애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의 시라이덩 호텔은 매년 100여 차례 단체 손님을 받는다. 특히 12월이 피크다. 보름 정도는 방이 꽉 찬다. 이러다 보니 관광 성격이 짙은 회의도 크게 늘고 있다. 중국여행총공사가 주선한 '유람성' 회의는 작년에만 700여건에 이른다. 1만여명이 참가했다. 장소 알선 등을 해주는 '회의 서비스 회사'가 베이징에만 99년 200여개였던 것이 지금은 4000여개로 늘었다고 현지 언론은 전하고 있다. 문제는 회의 남발이 부패로 이어진다는 데 있다. 또 회의 자체의 비생산성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시사주간지 신문주간은 최근 고급 회의는 '옳은 말씀'을 되풀이하고,중간 간부들의 중급 회의는 '하오하오(好好)'를 외치기 일쑤라고 지적했다. 그나마 직원 전체회의인 저급 회의에서는 졸거나 낙서하는 모습이 흔하다고 이 잡지는 꼬집었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들은 회의 수와 시간을 줄이는 것은 물론 고위 간부의 회의 참석을 제한하거나 발언시간을 통제하는 등 갖가지 묘안을 내놓고 있다. 지난 3월 전인대(국회)에서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각종 회의와 관련한 문제가 많다"고 질타한 뒤 광둥·산둥·저장·광시·지린성 등이 회의 간소화 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광둥과 산둥성은 최근 통지한 지침에서 성급 전체회의는 이틀,특정 부서의 성급 회의는 하루를 넘기지 않도록 제한했다. 광둥성은 특히 매달 중순에는 원칙적으로 회의를 열지 못하도록 했다. 산둥성은 회의에서 최고위 간부의 발언시간을 최고 1시간으로 제한했다. 앞서 안후이성의 하오저우시는 지난해 8월 시급의 236개 태스크포스 가운데 109개를 없앴다. 그러나 이 같은 규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의 권리를 시장으로 이양하는 행정개혁과 함께 병행돼야 실효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