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일자) 경계해야 할 헤지펀드의 급팽창

고수익만 올릴 수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게 특징인 헤지펀드의 국내 투자가 급격히 늘고 있어 불안감을 던져준다. 코스닥시장에서 활동하는 외국계 펀드의 절반 이상, 거래소시장의 4분의 1 이상이 헤지펀드라고 한다. 전체 외국인 거래의 30∼40%를 차지한다고 하니 헤지펀드가 이미 우리 증권시장을 좌지우지(左之右之)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물론 시장이 개방된 상황에서 외국 자본의 유출입을 마음대로 통제할 수는 없다. 특히 투기(投機)수익만 좇는다는 헤지펀드라고 해도 정당한 절차를 거쳐 들어왔다면 차별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실제 일부 부작용도 있었지만 헤지펀드를 포함한 외국자본이 국내 증시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점도 부인하긴 힘들 것이다. 문제는 헤지펀드의 속성상 단기투자를 위주로 하는 탓에 일시적인 자금 유출입이 잦고 그로 인한 부작용이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국민경제 전체에 미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 헤지펀드 규모가 1조달러를 넘고, 또 지금도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어 그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고 보면 더욱 그렇다. 따라서 국내시장교란 우려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강구하는 것은 물론 필요할 경우 외국 금융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단기 투기자금의 유출입에 대한 글로벌 수준의 규제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헤지펀드들의 경우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각종 불법과 편법을 자행하고 있는 것도 사실인 만큼 이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갖춰 놓아야 한다. 적대적 인수합병(M&A) 가능성을 퍼뜨려 주가를 올린 뒤 주식을 처분해 막대한 이익을 챙긴 헤지펀드인 헤르메스에 대한 정부의 조사도 그런 맥락일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헤지펀드의 유출입에 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우리 증시의 기반(基盤)을 확충하는 일이다. 증시 시가총액에서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20%에도 못미치는 등 외국인투자자 40%의 절반 정도 밖에 안되는 실정이고 보면 이는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적립식펀드에 대한 세제혜택부여나 토종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완화 등 기관투자가 육성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