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김치업체 몰려있는 중국 칭다오 가보니… 위생시설 뛰어난 곳도 많아

중국 칭다오에서 한 시간 떨어진 위성도시 라이시(來西)시의 한국계 김치회사 '청수림식품'.한국 영림기업의 현지법인인 이 회사는 한국 정부가 중국산 김치의 기생충 알 추가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 28일 공장 개업식을 가졌다. 중국의 검역 당국과 함께 설계를 했다는 이 공장엔 배추 등 원·부자재의 농약 및 납 함유량 등을 자체 조사하는 실험실을 갖추고 있다. 하얀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들은 1회용 장갑을 끼고 소독한 후 테이프로 작업복의 먼지를 털어낸 뒤 에어샤워를 거쳐야 라인에 들어갈 수 있다. 눈만 겨우 보일 정도의 위생가운과 모자를 쓴 작업자들은 반도체 공장을 연상시킨다. 포장 직전 단계의 라인에는 금속탐지기까지 설치돼 있다. 이 회사의 강종수 사장은 "정식 개업에 앞서 두 달 전부터 생산과 판매를 해왔다"며 "이 정도의 작업환경을 갖추지 않고는 중국 당국으로부터 수출허가를 정식으로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제대로 위생 환경을 갖추지 않은 현지 공장에 불법적으로 재하청을 주는 등의 방법으로 '불량 김치' 파동을 빚은 일부 한국 업자들의 행태가 '규정대로' 위생관리를 하고 있는 한국계 공장 전반에 불똥을 튀기고 있다는 것.강 사장은 "시험 가동기간 중에도 1주일에 김치를 4~5개 컨테이너(20피트급,16t) 정도 한국으로 내보냈는데 지금은 일절 중단돼 손해가 적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청수림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상당수 김치 수출업체들은 한국 당국의 최종 검사결과를 기다리며 조업을 중단한 상태다. 칭다오시 청양구에서 김치를 만드는 한국 업체 J식품도 그 중 하나다. 공장 문에 자물쇠가 채워져 있는 이 회사는 6개월 전 최신 위생시설을 도입했는데 김치파동으로 가동을 중단했다. 늘 영하 2도를 유지하던 냉동 저장고도 비어 있다. 지명도가 있는 한국 식품기업의 중국 현지 김치공장들은 가동되고 있지만 불안한 기색이 역력하다. 한국 굴지의 김치업체인 A사가 지난해 베이징 인근에 세운 김치공장 책임자는 "한국과 다를 바 없는 위생 시설을 갖추고 있다"면서도 "회사 이름을 공개하지 말아달라"고 신신당부했다. A사가 중국공장이 있다는 게 널리 알려지면 한국에서 파는 김치에 중국산이 있다는 오해가 생겨 판매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A사는 이런 이유로 김치를 중국 내수와 유럽 등 제3국 수출용으로만 공급하고 있다. A사 베이징 공장 대표는 "영국에서는 현지 교민이 운영하는 경쟁업체가 '중국산'을 확인하라는 전단까지 만들어 뿌리고 있다"며 "중국산을 싸잡아 매도하는 분위기는 자제돼야 한다"고 호소했다. 베이징의 통저우 식품개발공단에서 김치공장을 운영하는 '베이징 하선정 종합식품'의 박태성 대표도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 한국에는 수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일정 수준의 외형을 갖춘 김치공장을 운영하는 한국 업체들은 김치파동의 원인을 영세업체에 수출 허가업체 명의를 빌려주거나 재하청을 주는 정식 수출업체들의 불법 행위 및 한국 수입업자의 가격 후려치기에서 찾고 있다. 지난주 칭다오시는 23개 김치 수출업체 관계자를 소집해 이 같은 불법 행위가 적발되면 영업정지를 내리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김치 수출업체들은 중국 정부가 요구하는 위생수준을 갖추면 t당 500달러가 채산성의 마지노선인데 t당 400달러대까지 요구하는 한국 수입업자의 주문을 맞추기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한 김치공장 관계자는 "한국 수입업자는 가격에만 관심을 쏟을 뿐 공장 위생관리에는 소홀히 하는 반면 일본 수입업자는 위생수준부터 따지고 상주하다시피하면서 간섭을 한다"며 "수입업자가 1차 검역 기능을 못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칭다오=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