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로 본 부동산] 상가시장 양극화 현상 심화
입력
수정
상가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주택과 토지 규제에 초점을 맞춘 8·31 부동산종합대책 발표 이후 상가시장이 반사이익을 거둘 것이란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지만,효과는 기대만큼 크지 않고 효력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오히려 현재 시장에서는 투자가치가 높은 상가와 그렇지 못한 상가 간에 선호도 차이가 더 벌어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택이나 토지는 일단 한번 투자열기가 달아오르면 투자가치가 낮은 상품에도 덩달아 투자자들이 몰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가는 상품의 특성상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기 힘들다.
입지와 유동인구 등에 의한 상권전망에 따라 수익성에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가 투자자들의 임대수익도 제각각이다.
이 때문에 8·31대책 이후 대규모 단지 내 상가나 역세권의 근린상가에는 투자자가 몰리고 있지만 손님을 끌 만한 특색이 없는 테마상가 등은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떨어진다.
경매시장에서 지난 9~10월 전국 상가 낙찰가율(낙찰가격/감정가)이 50% 미만이라는 점도 상가들이 모두 각광받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경매컨설팅 업체인 지지옥션의 강은 팀장은 "상가는 시장 분위기보다 철저히 수익성에 따라 투자 수요가 몰린다"며 "전체적인 낙찰가율은 낮지만 유망 상가의 낙찰가율은 100%를 넘는 곳도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