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높아지는 금융스트레스지수에 주목


요즘 주가를 비롯한 금융변수가 급등락을 반복함에 따라 금융스트레스지수(FSI:Financial Stress Index)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금융스트레스지수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캐나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금융시장과 정책 당국의 불확실한 요인에 따라 경제주체들이 느끼는 피로(疲勞)'로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금융변수에 대한 기대값이 변하거나 분산과 표준편차로 표현되는 리스크가 커질 경우가 금융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이다.


현재 각국 중앙은행들은 종합적인 금융상황 지표를 앞다퉈 작성하고 있다.


이미 캐나다 중앙은행이 개발한 금융스트레스지수(FSI)는 실용단계에 와있고 스웨덴 중앙은행과 스위스 중앙은행도 각각 균형상황지수(ECI:Equilibrium Condition Index)와 금융상황지수(FCI:Financial Condition Index)를 개발했다.
골드만삭스와 같은 투자은행 등도 금융상황지수(GSFCI:Goldman Sachs FCI)를 개발해 국가별 투자판단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금융상황지수를 활용하는 금융기관일수록 글로벌 투자에 있어서 높은 투자수익을 내고 있는 점이 국내 금융기관과 시장참여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처럼 중앙은행과 투자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금융스트레스지수 개발에 나서는 것은 종전의 위기판단 지표로 알려진 조기경보지수가 은행위기 혹은 통화위기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접근해 금융시스템 전반의 움직임과 위기발생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지수화해 알려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금융스트레스지수는 한 나라 금융시스템의 총체적인 스트레스 상황을 하나의 지표로 보여 주기 때문에 정책 당국자와 경제주체들에게 금융정책 추진과 투자에 좀더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준다.


일반적으로 금융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한 나라 금융시스템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금융분야를 네 부문으로 구분해 접근한다.


주식 채권 외환 등의 세 가지 금융시장과 은행부문이 금융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고 부문별로 주요 변수들을 추출해 부문별 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한다.
다음 단계로 부문별 스트레스지수를 가중 평균하는 방법으로 한 나라의 종합적인 금융스트레스지수를 계산한다.


이 지수는 연속적인 시계열 자료로 1987년 블랙 먼데이,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2001년 9·11 테러 시기에 금융스트레스지수가 유난히 높게 나왔다.


캐나다 중앙은행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리 상황에 적용해 보면 그동안 주요 금융사건의 발생시기와 그 강도가 금융스트레스지수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했다.


시기별로는 외환위기 이후 금융스트레스지수는 그 이전에 비해 한 단계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환위기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주목해야 할 것은 올 들어 금융스트레스지수가 다시 상승하는 추세로 반전되고 있는 점이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국제 금융시장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


여러 요인 가운데 '버냉키 리스크'와 쌍둥이 적자로 대변되는 '그린스펀 유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미국의 주도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로서는 금융스트레스지수를 개발해 금융시장 전반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또 투자자들은 최근과 같은 상황에서 시장에 부화뇌동하기보다는 차분하게 지켜보거나 오히려 역발상 투자전략을 가질 것을 권해본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