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 경제읽기] 제2의 금리인상 도미노,주가에는?
입력
수정
요즘 들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각국의 정책금리가 '제2의 도미노 인상 국면'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시각이 대두하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해 12월 이후 조기 금리 인상 동결 가능성이 제기됐던 미국의 경우 앞으로 최소한 두 차례 이상 연방기금금리가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금리 인상에 보수적인 것으로 알려졌던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취임 이후 인플레 안정에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달 말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한 차례 금리를 올릴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후 인플레 상황에 따라서는 5.25∼5.5%까지 추가 인상도 가능하다는 쪽으로 뉴욕 월가의 시각이 바뀌고 있다.
일본도 양적 금융완화정책을 해제함에 따라 당분간은 제로금리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시중금리는 본격적인 상승국면이 예상된다.
이번 조치로 일본은행이 통화 공급을 더 이상 늘리지 않는다면 경기 회복에 따른 자금 수요로 시중금리는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리체계(interest system)상 시중금리가 올라가면 정책금리도 뒤를 따르게 된다.
올 들어 추가 금리 인상 문제를 놓고 고심해온 유럽중앙은행(ECB)도 이달 초에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했다.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 지표가 계속해서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금융기관들은 현재 2.5%인 유럽의 기준금리가 연말까지는 3% 내외로 인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밖에 우리나라를 비롯 캐나다 스웨덴 노르웨이 스위스 호주 등 G3를 제외한 여타 선진국과 체코 헝가리 등의 동유럽 국가,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홍콩 등 아시아 경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15개국이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지목되고 있다.
2004년 하반기에 이어 '제2의 금리 인상 도미노'라 불릴 만큼 국제 금리가 올라가는 가장 큰 원인은 경기 요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던 세계경제 성장률을 종전 4.3%에서 4.8%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플레 불안 전망도 금리 인상 국면이 당초 예상보다 지속될 것으로 보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론적으로 원유를 비롯한 국제원자재 가격이 인플레에 미치는 시차가 약 6개월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이 올 들어서는 세계 각국의 인플레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개도국을 중심으로 미국 등 선진국과의 금리 차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도 강하다.
요즘처럼 단순히 금융수익을 노리는 선진국의 캐리 자금과 투기자금이 국제 자금 흐름을 주도하는 시대에는 선진국이 당초 예상보다 금리 인상 국면을 오래 끌 경우 다른 국가들도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만약 자국 경기만을 고집해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미국과의 금리 차 확대에 따른 자본 유출과 역자산 효과로 경기에는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패러독스' 현상이 우려된다.
지난해 10월 이후 우리 경기가 크게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콜금리를 올려왔던 것도 미국과의 금리 차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컸다.
따라서 앞으로 국제 금리가 제2의 도미노 인상 국면에 진입한다 하더라도 세계 증시에 커다란 부담을 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제1의 도미노 금리 인상 국면과 달리 이번 금리 인상의 주된 목적은 자산부문에 낀 거품 해소보다는 성장세가 당초 예상보다 지속되는 것에 따른 경기 요인이 강하기 때문이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