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출신 경영학박사 왜 모자라나…환란때 유학 급감ㆍ한국학생 기피 여파

하영원 서강대 경영대학원장은 올 여름 미국에서 장기간 체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아메리칸마케팅협회 등 학회에 참석한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지만 실제 목적은 경영학 박사학위 취득을 앞둔 한국인들을 직접 만나보거나 요즘 주목받는 박사과정 인력을 수소문하기 위해서다. 하 대학원장은 지난해에도 미국으로 건너가 몇몇 박사학위 취득 예정자들에게 저녁도 사고 이메일을 보내 교수 자리를 제의하기도 했으나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교수 부족 최근 몇 년간 '경영학 박사 품귀 현상'이 심화하면서 대학들이 애를 먹고 있다. 특히 16개대가 경영전문대학원(MBA) 설립에 나서면서 경영학 박사 부족사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하 대학원장은 "경영학 박사 부족은 모든 경영대가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라며 "외환위기 이후 해외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사람이 많지 않은 데다 미국 등에서 한국인 학생을 많이 선발하지 않은 여파가 지금 밀려오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MBA과정을 운영 중인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함상문 교학처장은 "중국 경제가 급부상하면서 미국 대학들이 중국 학생을 더 선호하는 것 같다"며 "그 여파로 한국 학생들에 대한 입학 허가는 과거보다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그나마 해외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딴 사람들은 한국으로 돌아오기를 꺼린다. 국내 대학이 줄 수 있는 연봉 수준이 미국 대학이나 기업에 비해 턱없이 낮기 때문.박종원 고려대 경영대 부학장은 "미국에서 교수가 되면 초임으로 10만~15만달러를 받는데 국내 대학들이 초임 교수에게 줄 수 있는 연봉은 5만달러(5000만원) 내외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싱가포르국립대(NUS) 경영학과에 재직 중인 한 한국인 교수는 "연봉도 문제지만 아이들의 교육환경을 생각하면 한국에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경쟁력있는 교수를 구하기 어렵다보니 타 대학 교수를 유혹하는 스카우트전이 벌어지고 있다. 연봉 이외에 연구지원금이나 해외 학술대회 참석 경비를 보장하는 각종 인센티브도 제시된다. ◆앞으로가 더 문제 경영학 교수 부족은 계속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뿐 아니라 경제 단체,기업들도 MBA스쿨이나 코스 개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 등 일부 기업과 전국경제인연합회 증권선물거래소 등이 관심을 갖고 있다. 경영학 박사의 수요는 이처럼 갈수록 늘고 있는데 공급은 앞으로 더 줄어들 것이라는 점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미국 내 주요 대학들이 예산 삭감으로 경영학 박사과정을 축소한 까닭에 현재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한국 학생들이 별로 없다. 경영학을 전공해도 박사학위를 따는 데 많은 돈과 시간이 들어가는 만큼 MBA만을 취득,곧바로 기업에 들어가 많은 연봉을 받으려는 전공자들이 늘고 있다. 이는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다. 학계 한 관계자는 "경영학뿐만 아니라 경제학도 해외 박사가 10년 전 연간 100~120명 수준에서 지난해에는 절반(48명) 선까지 줄었다"며 "외환위기 이후의 공백이 현재 한국 경제·경영학계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석·문혜정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