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7] 재계 "올 임금인상률 2.6%"
입력
수정
[앵커]
경영계와 노동계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슈로 임금조정을 꼽을 수 있을텐데요. 재계가 올해 임금조정 권고안을 내놓았습니다. 한정원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앵커-1]
한 기자, 재계가 올해 임금 임상률을 어느 정도로 잡았나요.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올해 적정 임금인상률을 2.6%로 제시했습니다.
수익성이 떨어지거나 임금이 평균수준을 웃도는 대기업은 동결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환율 하락과 유가 급등으로 수출 채산성이 악화되는 등 경영환경 불안이 심화되고
대내적으로도 갈등요인들이 많이 남아 있어 우리 경제가 저성장 함정에 빠질 위험이 높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입니다.
(S: 미래 성장 동력 확보 )
당장 파이를 나눠갖기 보다는 미래의 발전을 위해 다함께 허리띠를 졸라매고 성장동력을 확보하자는 재계의 의지를 표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 올 임금인상률 2.6%)
경총은 국민경제생산성 기준에 입각해 정기승급분(1.3%) 을 제외한 2.6%를 인상해야하며
특히 평균임금이 전 산업 평균의 1.5배를 웃도는 대기업은 임금을 동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S: 대기업 임금 동결 권고)
경영환경 악화로 수익성이 떨어지거나 고임금 대기업은 임금을 동결하되
대신 그 재원은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근로조건 향상과 신규인력 채용을 확대하는 데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2]
예년에 비해서도 낮은 인상률을 제시한 것 같은데요. 재계는 우리 경제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습니까.
[기자]
지난해 경총은 근로자 1천명 이상 대기업은 동결, 1천명 미만 사업장은 3.9% 인상안을 제시했습니다.
작년보다도 인상률이 더욱 낮아졌는데요. 환율과 유가 등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경영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달라져야 한다는 재계의 위기의식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총은 올해 우리 경제가 장기간의 침체에서 벗어나 다소 나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대내외 변수들이 복병으로 자리 잡고 있어 낙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S: 경영환경 불안 심화)
유가급등과 환율하락 등 경영환경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고
비정규직 입법, 노사관계 로드맵 등 풀어야할 정치, 사회적 갈등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 "고용안정 주력해야")
경총은 이제는 임금 인상을 통한 근로조건 개선은 한계에 부딪혔으며 앞으로는 고용 안정으로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근로자들은 임금 안정에 적극 협력하고
기업은 생산성 제고를 통해 올해 60만개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앵커-3] 경총은 또 올해 풀어가야할 과제로 어떤 점들을 지적했나요.
[기자]
최근 들어 성장동력이 급격히 둔화되며
우리 경제가 저성장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S: 양극화 해결 시급)
경총은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등 사회 각 부문의 양극화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습니다.
고령화 시대에 대비할 과제도 제시했습니다.
경총은 정기승급제 폐지와 임금피크제 도입 등 고령화 사회에 적합한 인적자원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직무급이나 연봉제확산으로 임금 유연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앵커-4]
경제가 어렵다고는 하지만 임금인상률이 노동계의 요구 수준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 같은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재계의 권고안은 노동계가 요구한 인상률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경영계와 노동계의 큰 시각차를 보여주는 부분인데요. 그 격차만큼이나 노동계와 갈등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CG)
민주노총은 올해 임금인상 요구율을 월평균 임금총액 기준으로 9.1%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정규직에 비해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17.4%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한국노총은 자체 조사한 생계비와 물가상승률 등을 근거로 올해 정규직 임금인상 요구율을 월고정 임금총액 기준으로 9.6%, 비정규직은 19.2%를 각각 제시한 바 있습니다.
재계는 임금 인상률을 2.6%로 제시하고 대기업은 동결할 것을 권고했는데요. 격차만큼이나 갈등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들의 임금수준은 경제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나 기업의 수익성은 사상 최대로 나타났다"며 "각 사업장에서 임금격차 및 비정규직 차별 해소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노총 역시 이미 제시한 임금인상 요구율을 바탕으로 임단협 시즌을 맞아 전국 순회교육에 들어갔습니다.
한정원기자 jw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