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함께 풀어갑시다] 출산.보육 인프라부터 갖추자
입력
수정
저출산은 극복할 수 없는 대재앙인가.
'출산율 1.08명 쇼크' 이후 저출산·고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높다.무엇보다 걱정되는 것은 40년 후면 10명 중 4명은 65세 이상 노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에서 가장 노쇠한 나라가 될 것이란 얘기다.
잠재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차라리 당연해 보인다.선진국 문턱도 밟아보지 못한 채 초고령 사회의 부담에 허덕일 수밖에 없다는 우울한 예측에 이르면 다가올 현실은 너무 가혹하다.
젊은이 한 명이 노인 한 명을 떠맡아야 하는 시대를 누가 생각조차 해보았는가.
하지만 이 같은 우려는 간단없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논의되는 해법은 두 가지다. 더 늦기 전에 국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대책을 세우든지,대세는 거스를 수 없으니 경제 주체들이 고령화 사회에 적응하자는 주장이다.
후자가 답이 될 수도 있지만 지금으로선 능동적으로 대책을 마련하는 전자가 옳은 해법이다.
이제라도 서둘러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 저출산의 부작용을 막아야 한다. 유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이 심각성을 잇달아 경고하고 나설 정도로 문제 해결이 간단치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누가 나서야 할까. 정부의 힘만으로는 단연코 무리다. 아무리 돈을 쏟아붓고 인식을 바꾸자고 외쳐도 기업이나 국민이 움직여주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다.
한국경제신문은 저출산 극복을 위해 모든 경제 주체들에 5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더 이상 미룰 수도 없고,미뤄서는 안 되는 우리의 당면 과제들이다.
정부에는 ①저출산 극복 대책에 과감히 투자할 것과 ②출산친화적 사회인프라(주택 교육 등)를 시급히 정비할 것을 주문한다. 그게 바탕이 돼야 한다.
기업의 역할도 중요하다.
③기업들이 저출산 해결에 자발적으로 나서야 한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는 기업들에도 발등의 불이기 때문이다.
④국민도 인식을 바꿔야 한다.
연간 출생아 수가 43만명인데 매년 34만명의 여성이 낙태수술을 받는다니 말이 되는가. 교과서도 TV도 온통 반(反)출산적 내용으로 가득차 있다.
⑤남편들도 팔을 걷고 나서야 한다.
여성들이 맘 놓고 일을 할 수 있어야 아이를 낳을 수 있다.
한경의 제안은 출산억제책에 익숙한 우리 사회를 출산장려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저출산의 재앙을 막기 위한 출발점이다.
희망은 있다. 정부가 미흡하나마 뒤늦게 저출산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나섰다. 출산율을 2020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인 1.60명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희망도 제시했다. 기업들도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여직원들이 직장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보육시설을 마련하는가 하면 출산을 지원하기 위한 장려금까지 내놓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시민단체들도 출산을 독려하기 위한 활동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미래는 우리 하기에 달렸다.
<특별취재팀>
'출산율 1.08명 쇼크' 이후 저출산·고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높다.무엇보다 걱정되는 것은 40년 후면 10명 중 4명은 65세 이상 노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에서 가장 노쇠한 나라가 될 것이란 얘기다.
잠재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차라리 당연해 보인다.선진국 문턱도 밟아보지 못한 채 초고령 사회의 부담에 허덕일 수밖에 없다는 우울한 예측에 이르면 다가올 현실은 너무 가혹하다.
젊은이 한 명이 노인 한 명을 떠맡아야 하는 시대를 누가 생각조차 해보았는가.
하지만 이 같은 우려는 간단없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논의되는 해법은 두 가지다. 더 늦기 전에 국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대책을 세우든지,대세는 거스를 수 없으니 경제 주체들이 고령화 사회에 적응하자는 주장이다.
후자가 답이 될 수도 있지만 지금으로선 능동적으로 대책을 마련하는 전자가 옳은 해법이다.
이제라도 서둘러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 저출산의 부작용을 막아야 한다. 유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들이 심각성을 잇달아 경고하고 나설 정도로 문제 해결이 간단치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누가 나서야 할까. 정부의 힘만으로는 단연코 무리다. 아무리 돈을 쏟아붓고 인식을 바꾸자고 외쳐도 기업이나 국민이 움직여주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다.
한국경제신문은 저출산 극복을 위해 모든 경제 주체들에 5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더 이상 미룰 수도 없고,미뤄서는 안 되는 우리의 당면 과제들이다.
정부에는 ①저출산 극복 대책에 과감히 투자할 것과 ②출산친화적 사회인프라(주택 교육 등)를 시급히 정비할 것을 주문한다. 그게 바탕이 돼야 한다.
기업의 역할도 중요하다.
③기업들이 저출산 해결에 자발적으로 나서야 한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는 기업들에도 발등의 불이기 때문이다.
④국민도 인식을 바꿔야 한다.
연간 출생아 수가 43만명인데 매년 34만명의 여성이 낙태수술을 받는다니 말이 되는가. 교과서도 TV도 온통 반(反)출산적 내용으로 가득차 있다.
⑤남편들도 팔을 걷고 나서야 한다.
여성들이 맘 놓고 일을 할 수 있어야 아이를 낳을 수 있다.
한경의 제안은 출산억제책에 익숙한 우리 사회를 출산장려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인프라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저출산의 재앙을 막기 위한 출발점이다.
희망은 있다. 정부가 미흡하나마 뒤늦게 저출산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나섰다. 출산율을 2020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인 1.60명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희망도 제시했다. 기업들도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여직원들이 직장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보육시설을 마련하는가 하면 출산을 지원하기 위한 장려금까지 내놓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시민단체들도 출산을 독려하기 위한 활동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미래는 우리 하기에 달렸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