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일자) 北 미사일 도발 단호히 대응해야
입력
수정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끝내 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 그것도 당초 예상돼온 대륙간 탄도미사일 대포동 2호뿐 아니라 스커드 노동 등 단·중·장거리 미사일을 망라하고 있다.
한반도와 동북아의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명백한 도발(挑發)행위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이다.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 것은 무력 능력의 과시를 통해 북·미 양자회담을 성사시키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한국 일본 미국을 사정권으로 하는 단·중·장거리 미사일을 한꺼번에, 그것도 미국의 독립기념일을 택해 발사한 것은 이들 국가 국민들의 불안감을 고조시키면서 무력 시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의도일 것이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이런 협박에 굴복할 것이란 생각은 대단한 계산착오다.1999년과 2002년의 북ㆍ미, 북ㆍ일간 미사일 발사유예 협정 및 합의,지난해의 6자회담 공동성명 등 국제적 약속을 파기한 이번 도발은 오히려 북한정권의 고립(孤立)만 더욱 가속화시킬 따름이다.
실제 미국은 즉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을 통한 제재조치 마련에 착수했고 일본도 북한 선박 만경봉호 입항 금지 조치 등의 제재조치를 발동했다.
가뜩이나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는 북한 경제가 더욱 도탄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게다가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일본내 대북 강경파들의 입지를 한층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재촉하는 빌미를 제공해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만 깨뜨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이번 사태는 북한정권이 언제라도 무리한 도발을 저지를 수 있는 비상식적 집단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라는 점에서도 우려가 보통 큰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정부는 단호(斷乎)한 자세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력도발은 어떤 형태든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천명하는 것은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등과 면밀한 국제공조체제를 구축해 북한의 도발의지를 꺾을 수 있는 강력하고도 실효성 있는 대응 조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물론 남북이 극단적으로 대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라고는 보기 어렵지만 '무조건 끌어안기'식 대응 자세는 이제 더이상 곤란하다.
필요하다면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 같은 대북협력 사업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한반도와 동북아의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명백한 도발(挑發)행위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이다.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 것은 무력 능력의 과시를 통해 북·미 양자회담을 성사시키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한국 일본 미국을 사정권으로 하는 단·중·장거리 미사일을 한꺼번에, 그것도 미국의 독립기념일을 택해 발사한 것은 이들 국가 국민들의 불안감을 고조시키면서 무력 시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의도일 것이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이런 협박에 굴복할 것이란 생각은 대단한 계산착오다.1999년과 2002년의 북ㆍ미, 북ㆍ일간 미사일 발사유예 협정 및 합의,지난해의 6자회담 공동성명 등 국제적 약속을 파기한 이번 도발은 오히려 북한정권의 고립(孤立)만 더욱 가속화시킬 따름이다.
실제 미국은 즉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을 통한 제재조치 마련에 착수했고 일본도 북한 선박 만경봉호 입항 금지 조치 등의 제재조치를 발동했다.
가뜩이나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는 북한 경제가 더욱 도탄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게다가 미사일 발사는 미국과 일본내 대북 강경파들의 입지를 한층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재촉하는 빌미를 제공해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만 깨뜨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이번 사태는 북한정권이 언제라도 무리한 도발을 저지를 수 있는 비상식적 집단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라는 점에서도 우려가 보통 큰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정부는 단호(斷乎)한 자세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력도발은 어떤 형태든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천명하는 것은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등과 면밀한 국제공조체제를 구축해 북한의 도발의지를 꺾을 수 있는 강력하고도 실효성 있는 대응 조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물론 남북이 극단적으로 대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라고는 보기 어렵지만 '무조건 끌어안기'식 대응 자세는 이제 더이상 곤란하다.
필요하다면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 같은 대북협력 사업도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