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연금' 시행 8개월 ‥ 확정기여형 상품 인기

지난해 12월 도입된 퇴직연금 제도가 시행 8개월을 넘어섰다.

아직은 시행 초기여서 적립금액과 가입자 수가 많지는 않지만 최근 들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퇴직연금 계약 건수는 1만314건을 기록했다.

1인당 1건으로 집계되는 개인퇴직계좌(IRA) 241건을 제외하더라도 퇴직연금을 도입한 사업장 수는 이미 1만개를 넘어섰다.

올 들어 증시가 조정장세에 들어간 탓에 퇴직연금 펀드의 수익률이 그리 신통치는 않은 상황이다.그러나 운용기간이 장기인 점을 감안하면 아직 운용성과를 평가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제를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각종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등 유인책을 적극적으로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퇴직연금 계약 1만건 돌파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퇴직연금으로 적립된 금액은 총 1458억원으로 집계됐다.

5월 말(1058억원)보다 37.8% 늘어나 증가 속도에 탄력이 붙고 있다.

계약체결 건수는 5월 말 7993건에서 6월 말에는 1만314건으로 늘었다.판매 채널별로는 은행이 992억원의 실적을 올려 68.1%를 차지했고 보험이 305억원(20.9%),증권은 160억원(11.0%)을 각각 기록했다.

연금 종류별로는 확정기여(DC)형이 661억원으로 45.3%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확정급여(DB)형 540억원(37.1%),개인퇴직계좌 256억원(17.6%) 순이었다.

특히 연금 종류 비율이 판매 채널에 따라 다른 점이 눈에 띈다.

증권사의 경우 적립금 중 82.3%가 DC형에 몰린 반면 보험권은 64.8%의 적립금이 DB형으로 분류됐다.

증권사 가입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DC형을 선호한 것으로 풀이된다.

퇴직연금 시행이 9개월째 접어들지만 아직 운용은 보수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퇴직연금 적립금의 운용처를 보면 6월 말 기준으로 전체의 68.9%(1004억원)가 예·적금과 금리형 보험상품 등 원리금 보장상품을 차지했다.

퇴직연금펀드 등 간접투자 상품은 적립금의 17.3%인 268억원에 그치고 있다.

○ 펀드 수익률은 아직 미흡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으로 퇴직연금 펀드 수는 141개로 집계됐다.

이중 설정액이 1억원 이상인 펀드는 56개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펀드당 평균 설정액은 1억9000만원에 그쳤다.

상반기 증시 상황이 좋지 않았던 데다 펀드 규모도 작아 운용성과는 부진하다.

설정액 1억원 이상을 기준으로 했을 때 주식투자 비중이 70% 이상인 성장형의 경우 최근 6개월간 평균 수익률은 지난 1일 현재 -7.70%를 기록했다.

주식비중이 40% 미만인 안정형도 평균 -0.87%로 손실을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 채권형은 2.38%로 비교적 선전했다.

펀드별로 설정 이후 누적수익률로는 'SH탑스라이프퇴직연금채권자1'(4.47%) '삼성퇴직연금인덱스24채권자1'(3.43%) 'SG연금플랜채권자'(3.07%) 등의 채권형이 상위권에 올랐다.

안정형 중에서는 '대신DC대표주혼합자B-1'은 3.25%의 누적 수익률로 가장 성과가 좋았고,KB퇴직연금채권혼합형(자)의 경우 -2.51%에 그쳤다.

설정액 규모로는 '미래에셋퇴직플랜안정형40자1'이 24억1000만원으로 가장 컸다.

'PCA퇴직연금인컴40채권혼합자A-1'(20억원) 'KB퇴직연금채권혼합형자'(16억1000만원) '마이다스퇴직연금배당40혼합자1'(10억3000만원) 등도 10억원을 넘겼다.

운용사 관계자는 "아직은 펀드 규모가 작은 탓에 포트폴리오 구성이 어려워 수익률을 올리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일부 대형 공기업들이 하반기 중 퇴직연금을 도입할 계획이며 향후 펀드 금액이 커지면 운용성과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최근 은행 증권 보험 등 권역별로 퇴직연금 영업과 관련한 애로점을 파악했다"며 "퇴직연금 활성화 방안을 조만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