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투자기업 경영실태 설문조사] 서비스업 현황‥2~3년만에 탄탄한 수익구조 갖춰

중국에 진출한 한국 서비스업체들은 진출시기가 최근 2-3년에 집중돼 규모면에서는 영세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업체는 이 같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향후 경영전망을 낙관하는 등 빠르게 중국시장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특히 중국의 고소득층을 겨냥한 고급서비스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는 코트라 ,삼성경제연구소와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공동 실시한 ‘제3회 중국투자기업 경영실태 그랜드서베이’에 참여한 기업(전체 553개)중 금융 유통 물류 컨설팅 등 서비스분야 174개 업체만을 따로 분류, 분석한 결과다.

◆진출 및 경영상황=서비스업체의 중국진출을 시기별로 볼 때 전체기업의 72.4%가 지난 2001이후 사업을 시작했다. 서비스업계 중국진출이 중국의 WTO가입(2001년 말)직후 본격화 됐음을 보여준다. 투자규모의 경우 50만 달러 미만의 비중이 56.3%를 차지했고 고용 인력의 경우 10명 미만 40.5%, 11-50명 38.7%로 나타 대체적으로 영세성을 면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천한 진출역사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체의 수익구조는 탄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77.4%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했거나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치 46.1%보다 31.3%포인트가 높은 수준이다. 서비스업종 진출업체들의 경영실적이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비스 분야 흑자업체를 대상으로 한 흑자요인 조사에서 응답자의 29.4%가 양질의 서비스제공 능력을 꼽았고 이어 좋은 파트너(15.2%), 입지선정(13.7%), 직원들의 애사심(9.9%) 순이었다. 적자요인으로는 서비스차별화 실패와 입지선정 오류가 각 14.5%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파트너의 협력부족이 13.7%로 그 다음이었다. 서비스 품질, 입지선정 등이 성패를 가른 셈이다.

◆마케팅 현황=각 업체들의 타깃 수요층으로는 도시 중산층(51.2%)과 도시 부유층(25.0%)에 집중됐다. 도시지역 중산층 이상에 76.2%가 집중된 셈이다. 또 서비스품질 수준을 묻는 질문에 고급품이 49.2%, 중급품이 22.1%를 차지했다. 도시 지역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고급제품에 승부를 걸고 있는 것이다. 브랜드 인지도 조사에서는 38.4%가 ‘높은 편’이라고 응답, 짧은 진출역사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빠르게 수요자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브랜드는 현지법인 자체 상표(53.6%), 국내 모기업상표(30.0%) 등으로 절대다수가 자사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서비스 유통경로는 직판이 37.1%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중간 도매상을 포함한 중간상인 이용(13.2%), 위탁판매(11.3%), 현지 유통업체와의 직거래(10.7%)등의 순이었다.

예상과는 달리 한류(韓流)는 한국 서비스업체의 중국 사업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류의 긍정적 영향을 묻는 질문에 ‘별로 도움을 받지 못한다’라는 응답이 54.0%에 달했고, ‘도움을 받지만 그 강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비율도 26.6%에 이르렀다. 중국내 주요 경쟁대상 기업이 누구냐는 질문에 38.9%가 한국기업이라고 응답, 국내 서비스업체들 사이에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점과 극복방안= 소비시장 공략의 애로점을 묻는 질문에 응답의 34.6%가 ‘공급과잉에 따른 과당경쟁’을 지적, 업체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시장진입에 따른 중국정부의 정책적 규제(17.9%), 급변하는 소비성향(14.8%), 복잡한 유통시스템(14.8%), 정보수집 어려움(14.2%)등도 극복해야할 과제로 지적됐다.서비스업체들을 괴롭히는 또 다른 요소는 짝퉁 브랜드였다. 조사대상의 37.9%가 짝퉁브랜드로 피해를 봤다는 반응을 보였고, 47.3%가 당국의 짝퉁근절 의지가 미약하다고 답변했다.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서비스업체들이 역점을 두어야할 사안으로는 역시 마케팅 강화로 지적됐다. 향후 역점을 두어야 할 항목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0.8%가 영업력 강화를 꼽았고 이어 현지인 관리 인력의 육성(17.8%), 경영현지화(13.4%), 내실 경영(10.0%)등이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