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대출경쟁‥가계는 '빚 불감증'
입력
수정
가계 빚이 빠르게 늘고 있어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빚은 꾸준히 증가하는데 경기전망은 밝지 않아 실질 소득 하락에 따른 신용리스크가 부각되는 상황이다.12일 금융당국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중 가계신용(대출과 신용카드 판매)은 16조7200억원 늘어났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 급증한 것으로 15분기(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다.
금융감독위원회도 가계 부채 증가를 예의 주시하며 관리를 강화하는 분위기다.박대동 금감위 감독정책2국장은 "신용 버블기인 2001~2002년 수준(28%)은 아니지만 가계 빚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금리상승,부동산시장위축 등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면 금융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가계 대출라인 풀 가동
한국은행과 금감원에 따르면 2분기 중 가계신용은 16조7287억원 증가했다. 이는 1분기(7조3000억원)의 2배를 웃돌 뿐만 아니라 마구잡이 카드발급으로 거품소비의 절정기였던 2002년 3분기 이후 15분기 만에 최대치다. "가계가 다시 부채 불감증에 빠져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가계 빚이 급증한 주된 원인은 주택구입 자금대출(12조5000억원 증가)이지만 여기에는 금융권의 '돈 퍼주기 게임'이 한몫했다는 게 금융계의 분석이다. 사상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는 금융회사들이 외형경쟁을 벌이면서 대출 세일에 나선 탓이다.
우리은행은 상반기 중 가계에 무려 8조6265억원을 풀었다. 6개월 만에 가계대출 잔액이 24%나 급증했다.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잔액도 상반기 중 11% 증가했다.
하반기 들어 은행권의 외형경쟁은 다소 주춤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카드사의 카드론과 저축은행의 소액대출,그리고 대부업체의 고리대출로 대출경쟁이 번지는 양상이다. 저축은행의 경우 6월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조7000억원으로 작년 말에 비해 6.8%의 증가율을 기록,금융권별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서민 금융기관인 농.수협의 단위조합 대출잔액도 1분기 860억원 감소에서 2분기에는 2조7144억원이나 늘어났다.
○가계신용 위험없나
박대동 금감위 국장은 "현재의 가계 신용 증가세나 규모가 과도한 수준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가계채무 상환능력이나 금융기관의 손실 대응능력 등을 감안할 때 가계 및 금융회사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실질국민총소득(GNI) 대비 개인 금융부채비율(0.75%),개인 가처분소득 대비 개인 금융부채 비율(1.4배),개인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2.3배) 등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 지표가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기가 관건이다. 경기침체로 가계 소득이 줄면 빛 상환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미 7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13개월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치는 등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지표가 잇따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일부 아파트 가격이 하락조짐을 보이는 등 부동산 경기 전망도 불투명하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200조원 규모의 주택담보대출이 변동금리 대출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자부담이 늘어나 가계부실이 현실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출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한 사람이 카드대출로 '돌려막기'를 하는 현상이 재현되면서 개인파산이 잇따를 수 있다는 경고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빚은 꾸준히 증가하는데 경기전망은 밝지 않아 실질 소득 하락에 따른 신용리스크가 부각되는 상황이다.12일 금융당국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중 가계신용(대출과 신용카드 판매)은 16조7200억원 늘어났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 급증한 것으로 15분기(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다.
금융감독위원회도 가계 부채 증가를 예의 주시하며 관리를 강화하는 분위기다.박대동 금감위 감독정책2국장은 "신용 버블기인 2001~2002년 수준(28%)은 아니지만 가계 빚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금리상승,부동산시장위축 등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면 금융시장 불안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가계 대출라인 풀 가동
한국은행과 금감원에 따르면 2분기 중 가계신용은 16조7287억원 증가했다. 이는 1분기(7조3000억원)의 2배를 웃돌 뿐만 아니라 마구잡이 카드발급으로 거품소비의 절정기였던 2002년 3분기 이후 15분기 만에 최대치다. "가계가 다시 부채 불감증에 빠져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가계 빚이 급증한 주된 원인은 주택구입 자금대출(12조5000억원 증가)이지만 여기에는 금융권의 '돈 퍼주기 게임'이 한몫했다는 게 금융계의 분석이다. 사상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는 금융회사들이 외형경쟁을 벌이면서 대출 세일에 나선 탓이다.
우리은행은 상반기 중 가계에 무려 8조6265억원을 풀었다. 6개월 만에 가계대출 잔액이 24%나 급증했다.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잔액도 상반기 중 11% 증가했다.
하반기 들어 은행권의 외형경쟁은 다소 주춤해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카드사의 카드론과 저축은행의 소액대출,그리고 대부업체의 고리대출로 대출경쟁이 번지는 양상이다. 저축은행의 경우 6월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조7000억원으로 작년 말에 비해 6.8%의 증가율을 기록,금융권별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서민 금융기관인 농.수협의 단위조합 대출잔액도 1분기 860억원 감소에서 2분기에는 2조7144억원이나 늘어났다.
○가계신용 위험없나
박대동 금감위 국장은 "현재의 가계 신용 증가세나 규모가 과도한 수준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가계채무 상환능력이나 금융기관의 손실 대응능력 등을 감안할 때 가계 및 금융회사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실질국민총소득(GNI) 대비 개인 금융부채비율(0.75%),개인 가처분소득 대비 개인 금융부채 비율(1.4배),개인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2.3배) 등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 지표가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기가 관건이다. 경기침체로 가계 소득이 줄면 빛 상환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미 7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13개월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치는 등 경기침체를 예고하는 지표가 잇따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일부 아파트 가격이 하락조짐을 보이는 등 부동산 경기 전망도 불투명하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200조원 규모의 주택담보대출이 변동금리 대출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자부담이 늘어나 가계부실이 현실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출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한 사람이 카드대출로 '돌려막기'를 하는 현상이 재현되면서 개인파산이 잇따를 수 있다는 경고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