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7일자) 800원선마저 무너진 원ㆍ엔환율
입력
수정
서울외환시장에서 원·엔 환율이 어제 100엔당 798원70전을 기록해 외환위기 직전인 97년11월 이후 8년11개월 만에 800원 선 밑으로 주저앉았다. 그렇지 않아도 부진한 경제에 북핵(北核) 변수까지 가세해 있는 상황인데 원화마저 강세 행진을 이어가고 있으니 이만저만 걱정되는 게 아니다.
특히 원화값 상승이 경제 호전에 기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달러 강세 현상이 서울외환시장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중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니 더욱 우려가 크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 유로화나 엔화처럼 원화도 약세로 기울어야 마땅하지만 국내의 풍부한 달러 유동성이 적절한 시세 형성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국제결제은행(BIS) 등은 경제펀더멘털을 감안할 때 원화는 20% 이상 고(高)평가된 상태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고 이에 따른 경제적 부작용 또한 대단히 클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특히 2004년 말만 해도 100엔당 1000원을 넘었던 원·엔 환율이 800원 선을 하회할 정도로 급격히 내려앉은 것은 우리 경제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가능성마저 없지 않다.
우선 가뜩이나 만성적자 상태에 허덕이는 대일(對日) 교역수지가 한층 악화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게다가 세계시장에서 일본기업들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우리 수출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을 현저히 약화시켜 전체 무역수지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한국과 일본은 산업구조상 특성까지 비슷한 만큼 더욱 그러하다. 그렇지 않아도 북핵사태에 따른 한반도 위기 상황이 내수부진과 수출둔화에 시달리는 우리 경제를 궁지에 몰아넣고 있는 형편이고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오는 것도 당연한 이치(理致)다.
따라서 원화값 상승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여간 절실한 게 아니다. 그렇다고 뾰족한 수가 있는 것도 아닌 만큼 수출기업들은 끊임없는 구조조정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비가격경쟁력을 꾸준히 높여가는 한편 거래통화 다양화,수출입선 다변화,환위험 헤지 등의 노력도 병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정부 또한 외환시장 동향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기업들의 대외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수 있는 조치들을 적극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원화값 상승이 경제 호전에 기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달러 강세 현상이 서울외환시장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중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니 더욱 우려가 크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 유로화나 엔화처럼 원화도 약세로 기울어야 마땅하지만 국내의 풍부한 달러 유동성이 적절한 시세 형성을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국제결제은행(BIS) 등은 경제펀더멘털을 감안할 때 원화는 20% 이상 고(高)평가된 상태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고 이에 따른 경제적 부작용 또한 대단히 클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특히 2004년 말만 해도 100엔당 1000원을 넘었던 원·엔 환율이 800원 선을 하회할 정도로 급격히 내려앉은 것은 우리 경제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가능성마저 없지 않다.
우선 가뜩이나 만성적자 상태에 허덕이는 대일(對日) 교역수지가 한층 악화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게다가 세계시장에서 일본기업들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우리 수출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을 현저히 약화시켜 전체 무역수지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한국과 일본은 산업구조상 특성까지 비슷한 만큼 더욱 그러하다. 그렇지 않아도 북핵사태에 따른 한반도 위기 상황이 내수부진과 수출둔화에 시달리는 우리 경제를 궁지에 몰아넣고 있는 형편이고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오는 것도 당연한 이치(理致)다.
따라서 원화값 상승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여간 절실한 게 아니다. 그렇다고 뾰족한 수가 있는 것도 아닌 만큼 수출기업들은 끊임없는 구조조정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비가격경쟁력을 꾸준히 높여가는 한편 거래통화 다양화,수출입선 다변화,환위험 헤지 등의 노력도 병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정부 또한 외환시장 동향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기업들의 대외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수 있는 조치들을 적극 마련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