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3일자) 한.미 FTA, 이번에는 가닥 잡아야
입력
수정
오늘부터 닷새간 일정으로 제주에서 열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4차 본협상은 여러 가지로 중요하다. 무엇보다 양국이 이미 교환한 개방안(양허안)과 개방유보안을 토대로 구체적인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산물 자동차 의약품 등 핵심 쟁점은 5차 협상으로 넘기더라도 다른 현안들에 대해선 가지치기식 타결(妥結)이 시도될 가능성도 크다.
한마디로 향후 협상 성패를 점쳐볼 수 있는 그런 의미가 있다. 더구나 이번 협상은 북한 핵실험으로 한반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열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미 FTA를 추진함에 있어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외교·안보적 측면도 감안됐다는 것은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협상에 대내외적 관심이 쏠리는 건 당연하다. 한·미 FTA 협상이 타결로 향한다면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당히 해소(解消)되면서 외국인투자 이탈 방지 등의 효과를 동반할 것은 틀림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협상에 수세적으로 임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는 아니다. 협상에는 원칙이 있다. 줄 것은 주되 받을 것은 받아내야 한다. 지금 우리는 쌀 시장은 개방할 수 없다고 선을 긋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 이를 관철하려면 민감품목으로 분류한 것 중 상대적으로 피해 정도가 덜한 일부 품목의 양보는 불가피하다. 그래야 우리도 섬유분야 개방을 강력하게 요구할 수 있다. 미국이 논의 자체를 회피하고 있는 반덤핑법 남용 문제에 대해서도 이번 기회에 확실히 주장해야 한다.
다만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은 북핵 문제로 더 어려워진 측면이 있지만 꼭 그렇게 볼 것만도 아니다. 개성공단 자체가 국제사회의 이슈가 됐고,북한의 태도 변화에 달린 문제로 발전한 이상 사태 추이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일단 제쳐두면 오히려 우리의 협상력은 제고(提高)되는 점도 있다.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협상능력만이 아니다. 지금 제주도에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고 한다. 시민단체 등 이른바 반(反) FTA 시위대가 제주도에 대거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평화적 의견 개진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지만 불법 폭력시위는 절대 용납해선 안된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해야 하겠지만 그 전에 지금 상황에서 무엇이 국익을 보장하는 길인지 모두가 깊이 생각하고 행동할 때다.
한마디로 향후 협상 성패를 점쳐볼 수 있는 그런 의미가 있다. 더구나 이번 협상은 북한 핵실험으로 한반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열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미 FTA를 추진함에 있어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외교·안보적 측면도 감안됐다는 것은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협상에 대내외적 관심이 쏠리는 건 당연하다. 한·미 FTA 협상이 타결로 향한다면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당히 해소(解消)되면서 외국인투자 이탈 방지 등의 효과를 동반할 것은 틀림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협상에 수세적으로 임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는 아니다. 협상에는 원칙이 있다. 줄 것은 주되 받을 것은 받아내야 한다. 지금 우리는 쌀 시장은 개방할 수 없다고 선을 긋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 이를 관철하려면 민감품목으로 분류한 것 중 상대적으로 피해 정도가 덜한 일부 품목의 양보는 불가피하다. 그래야 우리도 섬유분야 개방을 강력하게 요구할 수 있다. 미국이 논의 자체를 회피하고 있는 반덤핑법 남용 문제에 대해서도 이번 기회에 확실히 주장해야 한다.
다만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은 북핵 문제로 더 어려워진 측면이 있지만 꼭 그렇게 볼 것만도 아니다. 개성공단 자체가 국제사회의 이슈가 됐고,북한의 태도 변화에 달린 문제로 발전한 이상 사태 추이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일단 제쳐두면 오히려 우리의 협상력은 제고(提高)되는 점도 있다.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협상능력만이 아니다. 지금 제주도에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고 한다. 시민단체 등 이른바 반(反) FTA 시위대가 제주도에 대거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평화적 의견 개진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지만 불법 폭력시위는 절대 용납해선 안된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해야 하겠지만 그 전에 지금 상황에서 무엇이 국익을 보장하는 길인지 모두가 깊이 생각하고 행동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