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의 날] (대학원생 무역논문 대회) 우수상 / 중앙대 ICON
입력
수정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3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인구 교역량 GDP(국민총생산) 등에서 EU나 NAFTA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다.
더구나 동북아 역내 교역량이 급증하면서 한·중·일 FTA(자유무역협정)의 가능성도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이 연구는 각종 무역 통계와 지표를 활용,한·중·일 FTA의 타당성을 분석했다.
또 한·중·일 FTA가 추진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지 상황별 시나리오를 작성하되 한·일 FTA와 한·중 FTA를 출범시킨 후 이를 통합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HS 2단위 코드를 사용해 무역특화지수(TSI)를 기준으로 97가지 코드의 산업 품목을 수출 특화 품목군,절대 수입 특화 품목군,경쟁력 취약 품목군,절대 경쟁력 취약 품목군 등 4가지로 분류했다.또 국가 간 산업 경쟁력을 보다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한국의 대일본,대중국 무역특화지수를 사용해 2~4단계에 걸쳐 품목군을 재분류했고,FTA에 대해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민감산업을 분석하기 위해 RCA(비교우위) 지수를 품목군을 재분류하는 데 이용했다.
FTA와 같은 교역 협정은 피해산업과 승자산업을 낳게 마련인데 피해산업의 반발이 크면 내부 조정비용이 높아지고,이는 성공적인 FTA 추진의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민감산업에 대한 분석은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한·중·일 FTA 체결을 위해 정부는 민감산업 분석에 만전을 기울여 내부 조정비용을 줄이고 3국이 시장원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FTA를 통해 통합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 반 FTA 여론을 불식시키는 작업도 필요하다.
경제적 통합을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정된 정치적 상황이 필수적이다.따라서 한·중·일 3국은 외교적인 문제에서도 상호 협력이 절실하다.
또한 한국은 장기적으로 한·중·일의 범위를 넘어서 동남아시아까지 포괄하는 FTA를 염두에 두고 동아시아권의 여러 나라와 FTA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동북아 역내 교역량이 급증하면서 한·중·일 FTA(자유무역협정)의 가능성도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이 연구는 각종 무역 통계와 지표를 활용,한·중·일 FTA의 타당성을 분석했다.
또 한·중·일 FTA가 추진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지 상황별 시나리오를 작성하되 한·일 FTA와 한·중 FTA를 출범시킨 후 이를 통합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HS 2단위 코드를 사용해 무역특화지수(TSI)를 기준으로 97가지 코드의 산업 품목을 수출 특화 품목군,절대 수입 특화 품목군,경쟁력 취약 품목군,절대 경쟁력 취약 품목군 등 4가지로 분류했다.또 국가 간 산업 경쟁력을 보다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한국의 대일본,대중국 무역특화지수를 사용해 2~4단계에 걸쳐 품목군을 재분류했고,FTA에 대해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민감산업을 분석하기 위해 RCA(비교우위) 지수를 품목군을 재분류하는 데 이용했다.
FTA와 같은 교역 협정은 피해산업과 승자산업을 낳게 마련인데 피해산업의 반발이 크면 내부 조정비용이 높아지고,이는 성공적인 FTA 추진의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민감산업에 대한 분석은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한·중·일 FTA 체결을 위해 정부는 민감산업 분석에 만전을 기울여 내부 조정비용을 줄이고 3국이 시장원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FTA를 통해 통합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 반 FTA 여론을 불식시키는 작업도 필요하다.
경제적 통합을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정된 정치적 상황이 필수적이다.따라서 한·중·일 3국은 외교적인 문제에서도 상호 협력이 절실하다.
또한 한국은 장기적으로 한·중·일의 범위를 넘어서 동남아시아까지 포괄하는 FTA를 염두에 두고 동아시아권의 여러 나라와 FTA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