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급식사고, CJ푸드 사실상 무혐의 '결론'

지난 6월 수도권 31개 학교에서 3000여명의 유사 식중독 환자를 발생시켰던 '급식 파동' 수사와 관련,검찰은 20일 "급식업체 CJ푸드시스템이 오염된 식재료를 사용했다는 추정은 가능하지만 오염 식재료 사용의 고의성이 나타나지 않고 식중독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 노로바이러스의 감염 경로가 뚜렷이 드러나지 않아 형사처벌하지 않았다"고 공식 발표했다.

검찰은 대신 '급식 파동' 당시 야채 세척 등에 쓰였던 물이 먹는 물로는 부적합한 지하수였다며 지하수의 수질검사 결과를 조작한 혐의(위계공무집행 방해)로 이모 Y환경생명기술연구원 대표(54) 등 5명을 구속기소하는 등 총 37명을 입건했다.

결국 CJ푸드시스템은 사실상 '무혐의' 처분을 받은 셈이다.

하지만 CJ푸드시스템의 올해 영업적자가 2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적지않은 상처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아니면 말고 식(式)' 먹거리 파동이 수년째 되풀이되는 이유에 대해 되짚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NGO)들의 '한건주의'식 고발 관행도 해결돼야 할 과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소비자 불안 커지고 기업들은 '피멍'CJ푸드시스템의 현재 상황은 '아니면 말고 식' 먹거리 파동의 결과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회사측은 올해 영업적자가 28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내년 3월로 예정된 인천공항 동관 식당 운영권 계약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했다는 점도 CJ푸드시스템이 곤혹스러워하는 부분이다.CJ푸드시스템 관계자는 "2001년부터 공항 식당을 운영해 오고 있는데 지난 6월 식중독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 인천공항공사측으로부터 해명 요구가 많았다"며 "재계약 시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시설 외식(컨세션)사업은 CJ푸드시스템이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로 만일 재계약에서 탈락할 경우 연간 180억원에 달하는 사업 기회를 박탈당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성장 동력마저 상실하게 된다는 얘기다.

특히 내년 경쟁 입찰엔 영국계 시설 외식 전문 회사인 SSP가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자칫 한국의 관문인 인천공항 식당 운영권을 외국계에 넘겨 줄 가능성마저 높아지고 있다.

SSP는 오토그릴과 함께 세계 1,2위를 다투는 선두 업체다.


○라면·만두·김치 등 식품업계 '돌아가며' 수모

더 큰 문제는 이처럼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즐비한 '아니면 말고 식' 먹거리 파동이 수년째 되풀이되고 있다는 점이다.

1988년 삼양라면이 인체에 해로운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정부당국의 발표로 부도 상황까지 내몰렸으나 결국 '무해' 판결을 받았다.

2004년 '쓰레기 만두속' 사건은 경찰이 당시 성급하게 발표했다가 사건 자체가 흐지부지됐고 올 9월 발생한 '올리브유 인체 유해 논란'도 단순 해프닝으로 끝났다.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아니면 말고식의 먹거리 파동이 터지면 피해는 기업들이 고스란히 져야 한다"며 "정부 시민단체 언론 등 대부분의 여론 조성 집단이 기업을 고발하는 데만 혈안이 돼 있지 그로 인해 기업이 입게 될 피해는 관심 밖"이라고 비판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