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핀볼 효과'로 본 現 진단과 주가 전망

요즘 들어 세계 증시에서는 '핀볼 효과(Pinball Effect)'라는 용어가 자주 눈에 띈다.

핀볼 효과란 제임스 버크의 명저 제목으로 사소한 사건이나 물건 하나가 도미노처럼 연결되고 점점 증폭되면서 세상을 움직일 수 있는 역사적인 사건을 만들어 내는 현상을 뜻한다.이 용어를 증시에 적용한다면 각각의 볼링 핀에 해당하는 주가 결정 요인인 경제 성장과 경기 순환,금리(혹은 국제유동성),기업 실적,투자자 심리 등이 올해는 비우호적이기보다는 우호적으로 예상돼 주가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다.

가장 큰 증시 볼링핀에 해당하는 세계 경기는 현재 낙관론(soft patch 혹은 disinflation)과 비관론(hard landing 혹은 stagflation)으로 나뉘어 예상하는 시각이 있으나 대부분의 예측 기관들은 연착륙(soft landing)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세계 경기가 둔화되더라도 잠재 수준으로 안착돼 투자자들에게는 크게 부담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역사적으로 증시에 가장 유리한 국면은 세계 경기가 연착륙할 때 나타났다.

세계 경기가 과열일 때에는 인플레와 금리인상 부담 등으로 실제 주가 상승률이 높지 않았으나 연착륙 국면에서는 이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어 어느 정도 증시의 수급 여건이 받쳐 주면 주가가 올랐다.

연초 들어 주가가 떨어지는 것은 기초 여건 변화보다는 매수세 실종에 따라 수급 여건이 일시적으로 흐트러진 데 주로 기인한다.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이 낮아진다 하더라도 경기 순환상으로 보면 주가 흐름에 유리한 분기별 성장률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증시에 영향력이 높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기선행지수를 보면 올 1분기에 저점을 형성할 것으로 주요 예측 기관들은 내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커다란 볼링 핀에 해당하는 국제유동성을 보면 최소한 현 수준에서 더 위축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현재 미국의 연방기금 금리인 5.25%와 세계 평균 정책금리는 한 나라의 적정 금리를 따지는 테일러 준칙이나 피셔 공식으로 볼 때 적정 수준에 어느 정도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설령 연초 들어 우려되고 있는 임금과 원자재 가격 등 비용 면에서 추가 금리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최근처럼 모든 상품이 공급 과잉에 처해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최종 상품의 가격 파괴 혹은 가격인하 경쟁으로 세계 인플레가 크게 오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1970년대와 달리 원자재 수요국의 통화 가치가 절상되고 있는 것도 세계 인플레를 안정시키는 요인이다.

미시적인 측면에서 볼링 핀에 해당하는 기업 실적은 최근처럼 세계 산업구조를 정보기술(IT)이 주도하는 시대에 있어서는 업종별로 차별화 현상이 심해지겠지만 전체적으로는 개선될 소지가 많다.

이 같은 현상은 이미 세계 경기가 둔화되기 시작한 작년 하반기 이후 나타나고 있다.

수확 체감의 법칙이 적용되는 전통적인 제조업과 달리 IT 업종은 네트워크를 깔면 깔수록 생산성 증대와 비용 절감,기업 이윤이 증대되는 수확 체증의 법칙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 밖에 각각의 볼링 핀을 연결하는 힘에 해당하는 투자자들의 증시를 보는 시각도 여전히 밝은 편이다.

대표적 자산 예측론자인 해리 덴트 등이 인구 통계학적인 관점에서 주장해 온 다우존스 지수 12,000선 돌파는 1980년대에 이어 2009년 혹은 2010년까지 또 다른 대세 상승 국면의 출발선이라는 인식이 뉴욕 증시 참여자들 사이에 폭넓게 확산돼 있는 상태다.

따라서 연초 들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대내외 증시를 너무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만약 현재 세계 증시에서 거론되는 핀볼 효과가 나타날 경우 포스트 브릭스 등 일부 국가의 주가는 의외로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대부분 국내 증권사들이 올해 코스피 지수를 1700선 내외가 될 것으로 보는 예상도 이런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유효하지 않나 생각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