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다국적기업 '수난시대'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이 수난을 겪고 있다.

다국적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블랙리스트가 작성되고,짝퉁제품을 만들었다고 비난한 외국업체가 명예훼손으로 피고소되는 등 다국적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공세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21일 신화통신 등 중국 언론에 따르면 상하이공상국은 시내 유명 백화점과 전문매장에서 판매하는 59개 의류제품을 조사해 샤넬,버버리,막스마라,자라 등 17개 해외 유명브랜드에 품질 불합격 처분을 내리고 매장에서 철수토록 했다.

이들 제품은 상하이의 매장에서 최고 6만위안(한화 720만원)에 팔리는 고가제품들이다.

스페인의 유명 브랜드인 자라 스커트에선 포름알데히드 함유량이 허용치의 배로 나타났다고 상하이공상국이 밝혔다. 또 막스마라 여성 코트와 버버리 바지는 쉽게 색이 바랬고 망고코트는 캐시미어 함유량이 20%라고 밝혔으나 조사 결과 함유량이 1.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업체인 맥킨지와 맥도날드 월풀 등 다국적기업 직원들이 SX사 등 중국의 4개 컴퓨터회사에서 2003년부터 수억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중국 공안의 조사를 받고 있다.

공안에 따르면 다국적 기업의 현지 직원을 포함,22명이 체포됐으며 지금까지 드러난 뇌물공여액은 400만위안(4억8000만원)에 달한다.

일본 소니는 디지털카메라를 자사의 특수 리튬배터리만을 사용토록 설계,다른 업체의 배터리가 쓰이지 못하도록 했다며 공정경쟁을 방해한 혐의로 피소돼 법정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또 중국의 종웨이버스는 자신들이 짝퉁을 만들었다는 비난을 한 독일 네오플랜사를 명예훼손혐의로 고소했다.

지난해에는 중국의 환경단체들이 네슬레 펩시콜라 등 33개 다국적기업을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요주의 대상으로 선정했다.

중국에서 이처럼 다국적기업들이 수난을 당하는 것은 반독점법 제정과 소득세법 통일 등 외국기업에 대한 특혜를 제거하려는 중국정부의 정책방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외국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에 다국적기업들이 반발하자 중국정부가 의도적으로 다국적기업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