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일자) 재난 대비는 지나칠만큼 철저하게

지난 주말 강원도 평창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4.8의 지진이 일어났다. 이번 지진은 우리나라에서 기상관측(觀測)이 이뤄진 후 육지와 해상을 통틀어 8번째로 큰 규모이며,육상만을 따진다면 4번째로 강도가 센 것이라고 한다.

인명 및 재산 피해는 아직까지 확인된게 없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긴 하지만 지난 10년 사이에 지진 발생 건수가 두 배 이상이나 급증하고 그 규모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어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특히 앞으로 수 년 안에 리히터 규모 5.0 수준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더욱 그러하다. 우리나라도 이제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주는 증거에 다름아니고 보면 국가 차원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상황이다. 지진은 관측만 될 뿐 예측하기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자칫 방심하기 십상이다. 게다가 우리의 경우 지진에 따른 재난(災難)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부 당국과 일반 국민들의 의식마저 희박한 게 사실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에서 고층 건물의 내진 설계를 의무화한 게 그다지 오래 되지 않아 많은 시설이 지진에 사실상 무방비 상태라 해도 과언(過言)이 아니다. 지진으로 인해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환경적 대재앙으로 연결될 개연성도 높다.

특히 근래 들어 한반도에서의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강도도 높아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이제부터라도 지진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일본과는 달리 지각판이 만나는 경계면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종래의 일반론에서 벗어나야 한다.

따라서 정부 당국은 지진으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감시체제를 구축하고 정보전달 시스템을 갖추는 데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특히 원전을 비롯해 고속철도 등 주요 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대폭 보강(補强)하고 지진연구를 위한 최첨단 장비와 연구인력도 크게 늘려야 한다.

지진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재난에 대비하는 자세를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대재앙의 경우 사후대책은 아무 의미가 없다. 재앙은 항상 예고없이 찾아온다. 이번 지진을 계기로 과연 우리의 재난 대비는 어느 정도인가 냉정하게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사전적인 예방과 대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