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지수 영향력' 크게 줄어
입력
수정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시총) 비중이 급격히 줄어들어 삼성전자 주가 급등락에 따른 지수 변동폭이 작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초만하더라도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100조원 이상으로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에 달했다.하지만 1년간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시총이 86조원 수준으로 줄어들어 시총 비중도 13%로 낮아졌다.
지난해 1월 74만원까지 올랐던 삼성전자는 지난 주말 58만70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5만원 이상 떨어졌다.
반면 포스코와 신세계 등 여타 시총 상위종목의 비중은 높아졌다.포스코는 지난해 1~2월께 17조원 수준이던 시총이 최근 27조7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시총 비중도 4.11%를 보이며 한국전력(4.22%)을 바짝 추격 중이다.
신세계도 같은 기간 8조원에서 10.3조원으로 2조원 늘어 1.5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또 매출에서 수출 비중이 70%이상인 수출주와 30% 미만의 내수주 간 시총 비중에서도 내수주가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엽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이 전체의 20%를 넘었을 때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컸다"며 "경기변화에 민감한 IT(정보기술) 대장주로서 하이닉스와 LG필립스LCD 등 대형 기술주의 동반 추락까지 부채질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 시총 비중에서의 영향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이 연구원은 "시장에서 삼성전자 비중이 줄어든 만큼 포스코와 신세계,그리고 신한지주 우리금융 등의 은행주 시총 규모가 상대적으로 커졌다"며 "시장이 점차 안정화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덧붙였다.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28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초만하더라도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100조원 이상으로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에 달했다.하지만 1년간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시총이 86조원 수준으로 줄어들어 시총 비중도 13%로 낮아졌다.
지난해 1월 74만원까지 올랐던 삼성전자는 지난 주말 58만70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5만원 이상 떨어졌다.
반면 포스코와 신세계 등 여타 시총 상위종목의 비중은 높아졌다.포스코는 지난해 1~2월께 17조원 수준이던 시총이 최근 27조7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시총 비중도 4.11%를 보이며 한국전력(4.22%)을 바짝 추격 중이다.
신세계도 같은 기간 8조원에서 10.3조원으로 2조원 늘어 1.5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또 매출에서 수출 비중이 70%이상인 수출주와 30% 미만의 내수주 간 시총 비중에서도 내수주가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엽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이 전체의 20%를 넘었을 때 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컸다"며 "경기변화에 민감한 IT(정보기술) 대장주로서 하이닉스와 LG필립스LCD 등 대형 기술주의 동반 추락까지 부채질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 시총 비중에서의 영향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이 연구원은 "시장에서 삼성전자 비중이 줄어든 만큼 포스코와 신세계,그리고 신한지주 우리금융 등의 은행주 시총 규모가 상대적으로 커졌다"며 "시장이 점차 안정화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덧붙였다.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