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혁신포럼 2007] 기업ㆍ국민 함께하는 국가혁신 시스템 만들자
입력
수정
혁신은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수단이다.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변화 속에서 기업,정부,국가가 어떻게 생존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이다.글로벌 경쟁에 내몰린 기업이 혁신의 논리를 가장 먼저 받아들였다. 정부 혁신은 참여정부 들어서야 본격화됐다.
기업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내세우며 뚜렷한 성과를 거뒀고 정부도 지난 4년간 변화의 고삐를 바짝 당기며 적지 않은 성과물을 남겼다.
그러나 그동안 추진된 정부혁신의 경우 '2%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정부혁신컨설팅센터 김광순 센터장(한국왓슨와이어트 대표)은 6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혁신포럼 2007'에서 발표할 '정부혁신에서 국가혁신으로'를 통해 "정부혁신이 내부 혁신역량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여전히 국민이 느끼는 혁신 성과가 미약하다"고 지적했다.
행정서비스의 고객인 국민,기업 등의 참여가 저조한 상태로 혁신이 추진되면서 '정부만의 혁신 활동'이라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 생활·경제 활동의 기반이 해외로 확산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했다.김 센터장은 "정부,기업 등 개별 주체들의 혁신 한계를 극복하고 이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해외 동포,해외 진출 기업까지 아우르는 국가혁신으로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며 "혁신에 대한 국가적 공감대를 확보하고 국가 발전의 주요 주체들이 참여하는 국가혁신시스템(National Innovation System)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혁신이야말로 선진국으로 가는 문을 여는 '마스터 키(master key)'라는 설명이다.
경제활동의 60~70%가 세계시장에서 이뤄지고,중국 일본 인도 등 경쟁국가들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는 상황도 국가혁신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이유로 꼽혔다.GDP 성장률과 1인당 국민소득의 정체,미래 불확실성의 증가도 변화가 시급한 이유다.
국가혁신을 위해선 △개별 주체의 혁신역량 △주체 간의 상호작용 △공동의 성과창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먼저 정부,기업,시민사회,문화예술 등 사회 각 부문에서 가치 있는 성과물을 창출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확립돼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조직 운영의 효율성,구성원들의 고객지향적인 의식과 태도도 눈여겨봐야 한다.
혁신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도 중요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정부와 기업,연구소와 기업 간의 혁신역량 강화 체계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시민사회단체는 적절한 촉진적 역할을 수행하는지도 파악해야 한다.
이와 함께 각종 규제,불합리한 거래조건 등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요소가 없는지 여부도 점검해야 한다.
혁신주체들의 가치창출,상호작용 프로세스가 공통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혁신구조를 확장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에 대한 육성은 적절한지,연구개발(R&D) 중심의 기술혁신구조는 잘 작동되고 있는지,중소기업·창업 지원을 통한 신성장 에너지 발굴은 적절한지 자문해 봐야 한다.
혁신은 짧은 시간 안에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국가혁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오랜 기간 혁신을 지속시키기 위해선 참여주체들에 대한 지속적 동기 부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국가혁신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독자적 활동이나 상호작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참여의 큰 틀을 짜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나라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스탠더드와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김 센터장은 "국가혁신은 미룰 수 없는 과제이며 이제 논의의 수준을 넘어 실천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국가혁신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국민 개개인의 열망과 국가적 혁신 당위성을 담은 비전 설정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 마련 등 세부 방안을 제시했다.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