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값싸게 핵포기 하지 않을것"
입력
수정
북핵 6자회담 타결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비핵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당장 합의문에 핵시설 불능화 시점이 명기되지 않은 데다 핵무기 등 '과거핵' 부분이 빠져 있다는 점에서 북한이 향후 협상의 주도권을 쥔 형국이다.북한이 약속이행의 속도를 내면 핵시설 불능화와 에너지 95만t을 맞바꾸는 2단계 협상이 빠른 진전을 이룰 수 있는 반면 버티기로 나올 경우 협상이 장기표류하는 등 난관에 봉착할 개연성도 없지 않다.
◆핵시설 불능화는 시기가 문제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의지는 보였다"는 게 협상장 안팎의 평가지만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비관적 전망도 만만치 않다.북한이 핵시설을 포기할 가능성은 시설의 낙후한 현실과 관계돼 있다.
북한이 영변 원자로를 1년간 가동하면 핵무기 1기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 5~6kg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극심한 에너지난에 시달리고 있다.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사는 "핵연료가 한 차례 가동분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라며 "시설 낙후로 효율도 떨어져 계속 가동하는 게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상당한 보상과 맞바꿀 수 있는 핵시설 불능화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문제는 시기다.데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은 만큼 북한에 휘둘릴 여지가 많다는 지적이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고문인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 담당 차관보는 "이번 협정은 분명 중요한 진보가 있었지만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빠뜨렸다"며 "가장 큰 문제는 핵무기 제거 시한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이클 그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 아시아 담당 선임국장도 "북한은 6자회담에서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을 시인하지 않았다"면서 "이는 중대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회담의 미국측 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가 벌써 부시 행정부 내외의 매파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어 차기 미국 정부 역시 이번 합의에 따른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외교부 산하 중국국제학연구소의 북핵 담당자인 진린보는 "북한은 값싸게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그래서 비관적"이라고 말했다.
◆테러지원국ㆍ적성국 해소 관건
일본 조총련 기관지인 조선신보는 북한이 미국의 정책전환 의지를 검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북한은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과 대적성국 교역법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은 법률로써 북한과의 무역 및 금융거래를 사실상 금지하고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구의 지원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미국이 법을 개정하려면 의회의 동의가 필요한데 지난해 11월 중간선거에서 상대적으로 온건한 민주당이 의회를 장악한 만큼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황이다.
◆핵무기 폐기는 험로 예상
북·미 관계에서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북한도 기존 핵시설을 포기하는 것 외에 한 가지를 더 해야 한다.
핵프로그램의 완전한 신고다.
합의문은 신고에 앞서 북한이 60일 내에 대상 목록을 협의하도록 명시했다.
북한은 플루토늄과 고농축우라늄(HEU) 등 '핵무기 재료'를 신고 대상으로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핵무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는 전문이다.
북한은 현재 6~7기의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나 6자회담 합의문은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제시하지 않았다.
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박사는 "미국이 법률을 완화하더라도 북한의 위협이 줄어들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실질적인 제재는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이 경우 북한의 핵 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한우덕ㆍ베이징=정지영 기자 woodyhan@hankyung.com
당장 합의문에 핵시설 불능화 시점이 명기되지 않은 데다 핵무기 등 '과거핵' 부분이 빠져 있다는 점에서 북한이 향후 협상의 주도권을 쥔 형국이다.북한이 약속이행의 속도를 내면 핵시설 불능화와 에너지 95만t을 맞바꾸는 2단계 협상이 빠른 진전을 이룰 수 있는 반면 버티기로 나올 경우 협상이 장기표류하는 등 난관에 봉착할 개연성도 없지 않다.
◆핵시설 불능화는 시기가 문제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의지는 보였다"는 게 협상장 안팎의 평가지만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비관적 전망도 만만치 않다.북한이 핵시설을 포기할 가능성은 시설의 낙후한 현실과 관계돼 있다.
북한이 영변 원자로를 1년간 가동하면 핵무기 1기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 5~6kg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극심한 에너지난에 시달리고 있다.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사는 "핵연료가 한 차례 가동분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라며 "시설 낙후로 효율도 떨어져 계속 가동하는 게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상당한 보상과 맞바꿀 수 있는 핵시설 불능화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문제는 시기다.데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은 만큼 북한에 휘둘릴 여지가 많다는 지적이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고문인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 담당 차관보는 "이번 협정은 분명 중요한 진보가 있었지만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빠뜨렸다"며 "가장 큰 문제는 핵무기 제거 시한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이클 그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 아시아 담당 선임국장도 "북한은 6자회담에서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을 시인하지 않았다"면서 "이는 중대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회담의 미국측 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가 벌써 부시 행정부 내외의 매파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어 차기 미국 정부 역시 이번 합의에 따른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외교부 산하 중국국제학연구소의 북핵 담당자인 진린보는 "북한은 값싸게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그래서 비관적"이라고 말했다.
◆테러지원국ㆍ적성국 해소 관건
일본 조총련 기관지인 조선신보는 북한이 미국의 정책전환 의지를 검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북한은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과 대적성국 교역법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은 법률로써 북한과의 무역 및 금융거래를 사실상 금지하고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구의 지원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미국이 법을 개정하려면 의회의 동의가 필요한데 지난해 11월 중간선거에서 상대적으로 온건한 민주당이 의회를 장악한 만큼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황이다.
◆핵무기 폐기는 험로 예상
북·미 관계에서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북한도 기존 핵시설을 포기하는 것 외에 한 가지를 더 해야 한다.
핵프로그램의 완전한 신고다.
합의문은 신고에 앞서 북한이 60일 내에 대상 목록을 협의하도록 명시했다.
북한은 플루토늄과 고농축우라늄(HEU) 등 '핵무기 재료'를 신고 대상으로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핵무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는 전문이다.
북한은 현재 6~7기의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나 6자회담 합의문은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제시하지 않았다.
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박사는 "미국이 법률을 완화하더라도 북한의 위협이 줄어들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실질적인 제재는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이 경우 북한의 핵 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한우덕ㆍ베이징=정지영 기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