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겹경사 ‥ 박종문 교수ㆍ정하륜씨 사제간 좋은일 겹쳐
입력
수정
훌륭한 스승 아래 좋은 제자 난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일이 포스텍(포항공대)에 생겼다.
포스텍은 14일 박종문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49)의 논문이 최근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관장하는 미국 톰슨사이언티픽사로부터 '주목받는 선도적 연구논문'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이 논문은 2005년 발표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6가 크롬의 제거'로 낙엽이나 나무껍질이 유해물질인 6가 크롬을 인체나 동물에 해가 없는 3가 크롬으로 축소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해 주목받았다.
포스텍은 이 논문이 영국 SCI 등재 환경 분야 학술지인 키모스피어 2005년 9월호에 게재됐으며,발표 후 1년 만에 16회나 인용돼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 '생체흡착(biosorption)'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음이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의 주목받는 논문만큼이나 눈길을 끄는 학생도 있다.이날 열린 포스텍 졸업식에서 정하륜씨(27)는 1개 학위를 받기도 힘든 이 학교에서 11학기 만에 3개 학위를 취득,주위를 놀라게 했다.
정씨는 1998년 전자전기공학과에 입학한 뒤 컴퓨터공학과 수학을 복수전공해 3개 학위를 동시에 취득했다.
성적도 평점평균 3.9점을 기록해 전체수석 다음으로 큰 상인 최우등졸업상을 받았다.정씨는 "남들보다 학교를 더 오래 다녀 졸업에 대한 부담감이 컸다"면서 "원래 전공 분야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이나 지식을 배울 수 있어 복수전공을 택했다"고 말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
포스텍은 14일 박종문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49)의 논문이 최근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관장하는 미국 톰슨사이언티픽사로부터 '주목받는 선도적 연구논문'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이 논문은 2005년 발표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6가 크롬의 제거'로 낙엽이나 나무껍질이 유해물질인 6가 크롬을 인체나 동물에 해가 없는 3가 크롬으로 축소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해 주목받았다.
포스텍은 이 논문이 영국 SCI 등재 환경 분야 학술지인 키모스피어 2005년 9월호에 게재됐으며,발표 후 1년 만에 16회나 인용돼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 '생체흡착(biosorption)'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음이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의 주목받는 논문만큼이나 눈길을 끄는 학생도 있다.이날 열린 포스텍 졸업식에서 정하륜씨(27)는 1개 학위를 받기도 힘든 이 학교에서 11학기 만에 3개 학위를 취득,주위를 놀라게 했다.
정씨는 1998년 전자전기공학과에 입학한 뒤 컴퓨터공학과 수학을 복수전공해 3개 학위를 동시에 취득했다.
성적도 평점평균 3.9점을 기록해 전체수석 다음으로 큰 상인 최우등졸업상을 받았다.정씨는 "남들보다 학교를 더 오래 다녀 졸업에 대한 부담감이 컸다"면서 "원래 전공 분야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이나 지식을 배울 수 있어 복수전공을 택했다"고 말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