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경제 위기론도 언론 탓?
입력
수정
청와대가 13일 '위기론을 돌아본다' 시리즈 4탄을 내놨다.
최근 청와대 브리핑에 연재되고 있는 이 글의 3탄까지의 주제는 '안보'였다.4편부터 '경제'로 넘어온 것이다.
제목은 '청개구리 신문들의 때 아닌 경제위기 타령'. 보수언론들이 안보장사하듯 경제위기를 부풀려 보도하고 있다는 게 요지다.
그러면서 "향후 5,6년 내에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지난 9일 이건희 삼성 회장의 발언을 언론이 침소봉대하면서 위기론의 중요한 논거로 삼아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비판했다. 10년 전 외환위기 당시 한국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도하는 외국 언론을 엄중히 꾸짖더니 이제는 앞장서서 '한국경제 때리기'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위기''파탄' 등의 용어까지 서슴없이 써가며 경제 주체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과연 그러한가.
이날 재정경제부의 한 고위 관료는 최근 경제계 화두로 떠오른 이 회장의 '한국경제 위기론'에 대해 공개적으로 공감을 표시했다.거시경제정책을 책임지는 이 관료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성장 잠재력을 걱정해야 할 시기가 온 것 같다"며 이 회장의 지적에 동의를 표시했다.
또 "하루 이틀에 되는 문제는 아니지만 정부도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의 목소리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민간 경제연구소들도 "현 상황이 계속된다면 중장기적으로 한국이 4∼5% 성장률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노부호 서강대 교수는 "지금 뭔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는 경제주체 간 공감대가 이뤄진 것 아닌가 싶다"고 현상을 진단했다.
이만우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도 "거시지표상으로는 위기가 아니라고 하지만 내가 만나본 중소기업인들은 곧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미 기업들은 '테프콘 1(전시상태)'이라는 것이다.언론보도가 경제주체에 심리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청와대로선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십분 이해하더라도 청와대의 이런 자세는 시장현실과는 거리가 멀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사람들은 청와대의 발언 배경에 뭔가 딴 게 있는것 아니냐며 고개를 갸우뚱거리고 있다.
이심기 정치부 기자 sglee@hankyung.com
최근 청와대 브리핑에 연재되고 있는 이 글의 3탄까지의 주제는 '안보'였다.4편부터 '경제'로 넘어온 것이다.
제목은 '청개구리 신문들의 때 아닌 경제위기 타령'. 보수언론들이 안보장사하듯 경제위기를 부풀려 보도하고 있다는 게 요지다.
그러면서 "향후 5,6년 내에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지난 9일 이건희 삼성 회장의 발언을 언론이 침소봉대하면서 위기론의 중요한 논거로 삼아 호들갑을 떨고 있다고 비판했다. 10년 전 외환위기 당시 한국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도하는 외국 언론을 엄중히 꾸짖더니 이제는 앞장서서 '한국경제 때리기'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위기''파탄' 등의 용어까지 서슴없이 써가며 경제 주체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과연 그러한가.
이날 재정경제부의 한 고위 관료는 최근 경제계 화두로 떠오른 이 회장의 '한국경제 위기론'에 대해 공개적으로 공감을 표시했다.거시경제정책을 책임지는 이 관료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과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성장 잠재력을 걱정해야 할 시기가 온 것 같다"며 이 회장의 지적에 동의를 표시했다.
또 "하루 이틀에 되는 문제는 아니지만 정부도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의 목소리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민간 경제연구소들도 "현 상황이 계속된다면 중장기적으로 한국이 4∼5% 성장률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노부호 서강대 교수는 "지금 뭔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는 경제주체 간 공감대가 이뤄진 것 아닌가 싶다"고 현상을 진단했다.
이만우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도 "거시지표상으로는 위기가 아니라고 하지만 내가 만나본 중소기업인들은 곧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미 기업들은 '테프콘 1(전시상태)'이라는 것이다.언론보도가 경제주체에 심리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청와대로선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십분 이해하더라도 청와대의 이런 자세는 시장현실과는 거리가 멀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사람들은 청와대의 발언 배경에 뭔가 딴 게 있는것 아니냐며 고개를 갸우뚱거리고 있다.
이심기 정치부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