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률 3.5%로 곤두박질 … 저소득층 안전판이 없다

한국 경제의 고성장을 뒷받침해온 가계저축률이 지난해 3%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우리나라의 개인 순저축률은 3.5%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이는 10년 전인 1998년의 23.2%보다 무려 20%포인트 가까이 떨어진 것이며 2005년보다도 0.7%포인트 낮은 것이다.

이 같은 저축률은 신용카드 버블이 터지기 직전인 2002년 이례적으로 기록한 2.0%를 제외하곤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저축률 하락은 그만큼 소비 지출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경기 활성화 측면에서 보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그러나 저축률이 지나치게 떨어질 경우 가계 파산 증가로 소비가 위축되고 궁극적으로 경제 악순환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고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저축률은 한국은행이 통계를 작성한 1975년 이후 1990년대 말까지 단 세 차례(1975년,1980년,1981년)를 제외하곤 줄곧 두 자릿수를 유지하면서 경제성장의 밑거름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한국의 저축률 3.5%는 미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영국(4.9%) 독일(10.6%) 프랑스(11.8%)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가계저축률이 이처럼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은 씀씀이는 커지는데 이를 뒷받침할 만큼 가처분소득이 늘지 않기 때문이다.

개인 순처분 가능 소득은 외환위기가 닥친 1997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5.5%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개인 부문의 소비 지출은 같은 기간 연평균 6.9% 증가했다.특히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저금리에 부동산 값이 급등하면서 빚을 내 집 장만에 나서는 사람들이 급증했다.

돈을 벌어 대출이자를 갚기에도 급급하다 보니 저축은 엄두를 못내는 것이다.

사교육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세금 건강보험 등 월급에서 자동으로 공제되는 비소비 지출이 늘어나는 것도 가계저축의 원천인 가처분소득을 갉아먹고 있다.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률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경기가 악화했을 때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 파산이 늘어나 경제 전반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