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주변 부동산 개발 다시 '탄력' ‥ 620m 세계3위 마천루 건설 확정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가 29일 서울 용산역 주변 철도정비창 부지에 최고 620m 높이의 초고층 랜드마크 건물(조감도)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함에 따라 이 지역 개발에 한층 힘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또 한국은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초고층 빌딩을 갖게 됐다.그러나 13만4000평의 사업부지 중 5만여평(불특정 지역)은 개발이 유보된 데다,용적률까지 610%에서 580%로 깎이는 바람에,최대한의 수익으로 빚을 갚아야 하는 철도공사로서는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주변 부동산 꿈틀

용산국제업무지역의 핵심인 랜드마크가 확보되면서 그동안 소강상태를 보였던 용산역 주변 부동산 시장도 다시 반응을 보일 전망이다.거의 나대지나 마찬가지인 땅에 수십개의 초고층 빌딩이 들어서는 매머드급 개발사업인 만큼 인근 상권 자체가 한 차원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부풀어 오르고 있다.

특히 용산국제업무지구와 한강 사이에 자리잡은 서부이촌동 재개발과 자연스럽게 연계될 공산이 커졌다.

서울시 역시 현재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서부이촌동 등 인근 저개발지역의 연계를 염두에 두고 지구단위 계획을 다루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세계 3위 '마천루'

2013년 완공 목표인 용산국제업무지역 랜드마크는 현존하는 최고(高) 빌딩인 대만의 '타이베이 101빌딩(508m,101층)'보다 112m 높다.

그러나 앞으로 지어질 마천루까지 따지면 세계 세 번째 수준이다.내년 완공될 아랍에미리트의 '버즈두바이(830m,160층)'가 가장 높고,2010년 러시아 모스크바에 세워질 '타워오브러시아'(649m,125층)가 두 번째다.

반면 국내 초고층 빌딩 후보인 송도 인천타워(610m,151층)나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555m,112층),상암동 국제비즈니스센터(580m,130층) 등과는 20~65m가량 차이를 벌려놨다.

서울시 관계자는 "남산 등 주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점과 서울에 국내 최고층 건물이 들어서야 한다는 시민의 여론도 감안됐다"고 설명했다.

◆철도공사 "난감…그래도 추진"

그러나 세계 최고 수준의 마천루를 얻기까지는 걸림돌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철도공사 측은 이날 "사실상 개발계획을 8만4000평 선개발과 5만평 후개발 등 두 단계로 이원화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사업성에 큰 변화가 생긴 만큼 향후 개발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하는 부담이 생겼다"고 반발했다.

게다가 철도공사는 서부이촌동 지역을 용산과 연계해 개발해 줄 것을 내심 바라고 있는 서울시 입장에 대해서도 "지자체가 할 일을 떠넘기는 꼴"이라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양측 간 2라운드 협상이 변수가 됐다.

서울시가 따로 떼어놓은 5만평에 대한 후속 허가권과 서부이촌동 연계 개발 요구 카드들을 언제든 쓸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철도공사의 입지가 유리하진 않은 형국이다.실제 철도공사는 이날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자문 결과에 대해 "사업성을 고려하지 않은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라고 반발하면서도 "서울시와는 적극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라며 수용 가능성을 열어놓기도 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