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롱이ㆍ명왕성, 내년 교과서에서 퇴출
입력
수정
학계에서 검증받지 못한 복제소 '영롱이'와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된 '명왕성'이 내년부터 교과서에서 퇴출된다.
8일 한국검정교과서협회에 따르면 현행 과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영롱이와 명왕성 관련 내용이 내년 발행되는 중ㆍ고교 과학 및 지구과학,생물 교과서에서 삭제되거나 새로운 내용으로 바뀐다.이 같은 교과서 내용 수정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해 12월 협회에 영롱이에 대한 '과학계 검증 미비'와 명왕성의 '행성 지위 상실' 내용을 반영해 교육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지침을 내린 데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1월 황우석 박사 논문 조작 사태와 관련,과학 교과서에서 황 박사의 복제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내용을 삭제했으나 영롱이에 대해서는 '국내 최초의 복제 송아지'라는 기존 내용은 그대로 두고 황 박사에 대한 언급만 뺐다.
그러나 협회의 수정 자료 배포로 올해 한 출판사의 생물교과서에서는 '우리나라는 복제소 영롱이를 탄생시켰다'는 내용이 '복제개 스너피를 탄생시켰다'로 변경됐다.명왕성의 교과서 퇴출은 국제천문연맹(IAU)이 지난해 8월 체코 프라하 총회에서 결의안을 통해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시킨 데 따른 것이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8일 한국검정교과서협회에 따르면 현행 과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영롱이와 명왕성 관련 내용이 내년 발행되는 중ㆍ고교 과학 및 지구과학,생물 교과서에서 삭제되거나 새로운 내용으로 바뀐다.이 같은 교과서 내용 수정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해 12월 협회에 영롱이에 대한 '과학계 검증 미비'와 명왕성의 '행성 지위 상실' 내용을 반영해 교육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지침을 내린 데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1월 황우석 박사 논문 조작 사태와 관련,과학 교과서에서 황 박사의 복제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내용을 삭제했으나 영롱이에 대해서는 '국내 최초의 복제 송아지'라는 기존 내용은 그대로 두고 황 박사에 대한 언급만 뺐다.
그러나 협회의 수정 자료 배포로 올해 한 출판사의 생물교과서에서는 '우리나라는 복제소 영롱이를 탄생시켰다'는 내용이 '복제개 스너피를 탄생시켰다'로 변경됐다.명왕성의 교과서 퇴출은 국제천문연맹(IAU)이 지난해 8월 체코 프라하 총회에서 결의안을 통해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시킨 데 따른 것이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