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수 FTA 추진 단장 "한.EU FTA협상 1년내 타결 낙관"
입력
수정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은 농산물 관련 쟁점이 많지 않아 1년 정도면 타결될 것으로 봅니다."
한.EU FTA 협상에서 한국 수석대표를 맡는 김한수 통상교섭본부 FTA 추진단장은 1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협정이 맺어지면 자동차 등 공산품 수출이 크게 늘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EU FTA 협상은 오는 5월7일 서울에서 시작된다. 김 단장은 지난 13일 신설된 FTA 추진단의 초대 단장(1급)으로 한.EU뿐 아니라 아세안(ASEAN) 캐나다 인도 등과의 FTA 협상과 한.중 FTA 정부 간 공동연구에서 수석대표를 맡고 있다.김 단장은 "EU와의 쟁점은 법률 등 서비스와 투자,자동차 의약품 화장품 등의 시장접근 문제인데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당부분 해결돼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캐나다 인도와의 협상도 예정대로 잘 되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타결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FTA와 인연이 남다르다. "1998년 통상교섭본부가 신설됐을 때 사무관 1명과 함께 처음으로 FTA 업무를 시작했죠." 행시 19회(1976년)로 통상산업부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한 그는 1998년 통상교섭본부 다자통상총괄팀장으로 옮긴 뒤 'FTA 기본추진계획'을 입안했다. '한국도 FTA가 필요하다. 칠레와 시작한 뒤 거대경제권으로 간다'는 것이었다. "복잡한 이해관계 탓에 자발적인 개혁이 힘든 상황이었죠. 그래서 내린 결론이 FTA를 통한 개방이었다"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단장은 칠레와 접촉해 협상을 시작했다. 2003년엔 당시 조정관이었던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의기투합해 FTA 드라이브를 본격화했다. "김 본부장은 공무원 출신이 아니어서 겁이 없고 추진력이 강했습니다. 제가 공무원으로서 실무를 뒷받침했죠"라고 그는 회상했다. 김 단장은 2004년 12월 초대 FTA 국장이 됐고 이후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아세안 멕시코 캐나다 인도와의 협상을 줄줄이 시작했다. 이 때문에 한.미 FTA엔 참여할 수 없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한.EU FTA 협상에서 한국 수석대표를 맡는 김한수 통상교섭본부 FTA 추진단장은 1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협정이 맺어지면 자동차 등 공산품 수출이 크게 늘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EU FTA 협상은 오는 5월7일 서울에서 시작된다. 김 단장은 지난 13일 신설된 FTA 추진단의 초대 단장(1급)으로 한.EU뿐 아니라 아세안(ASEAN) 캐나다 인도 등과의 FTA 협상과 한.중 FTA 정부 간 공동연구에서 수석대표를 맡고 있다.김 단장은 "EU와의 쟁점은 법률 등 서비스와 투자,자동차 의약품 화장품 등의 시장접근 문제인데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당부분 해결돼 크게 어려운 부분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캐나다 인도와의 협상도 예정대로 잘 되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타결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FTA와 인연이 남다르다. "1998년 통상교섭본부가 신설됐을 때 사무관 1명과 함께 처음으로 FTA 업무를 시작했죠." 행시 19회(1976년)로 통상산업부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한 그는 1998년 통상교섭본부 다자통상총괄팀장으로 옮긴 뒤 'FTA 기본추진계획'을 입안했다. '한국도 FTA가 필요하다. 칠레와 시작한 뒤 거대경제권으로 간다'는 것이었다. "복잡한 이해관계 탓에 자발적인 개혁이 힘든 상황이었죠. 그래서 내린 결론이 FTA를 통한 개방이었다"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단장은 칠레와 접촉해 협상을 시작했다. 2003년엔 당시 조정관이었던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의기투합해 FTA 드라이브를 본격화했다. "김 본부장은 공무원 출신이 아니어서 겁이 없고 추진력이 강했습니다. 제가 공무원으로서 실무를 뒷받침했죠"라고 그는 회상했다. 김 단장은 2004년 12월 초대 FTA 국장이 됐고 이후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아세안 멕시코 캐나다 인도와의 협상을 줄줄이 시작했다. 이 때문에 한.미 FTA엔 참여할 수 없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