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벗은 제5세대 전투기 'F35'‥레이더에 안잡히는 '최첨단 파이터'
입력
수정
'콰-아앙-'
고막을 찢는 듯한 굉음과 함께 1만2000피트의 활주로를 내달리던 F35 전투기가 육중한 몸체에도 불구하고 가뿐하게 공중으로 치솟아 오른다.전투기 중 가장 강력한 프랫&피트니의 F135 단발 엔진을 장착한 F35는 눈 깜짝할 사이 구름 속으로 모습을 감춘다.
뒤이어 5~6초 간격으로 F18과 F16이 F35와의 편대 비행을 위해 추격에 나선다.
지난 12일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있는 미 군수업체 록히드마틴의 전투기 생산공장.미 해군 합동 후방기지 건너편에 위치한 활주로에서 F35 첫 시험 제작기의 13번째 시험 비행이 있었다.F35의 시험비행 모습이 국내 언론에 공개되기는 처음이다.
록히드마틴 관계자는 "이날 시험 비행에서는 3만피트 상공을 선회 비행하며 엔진 체크,추력 점검 등을 한 후 1만5000피트에서 F16 등과 편대 비행하고 1만피트에서 또다시 추력 점검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F16 등 기존 전투기와 달리 스텔스(stealth) 기능 등을 갖춰 '제5세대 전투기'로 불리는 F35는 다국적 전투기이다.2001년부터 미국이 40조원 이상을 F35 개발 프로젝트인 JSF(Joint Strike Fighter)에 투자,최대 지분을 갖고 있다.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 터키 호주 등 8개국도 공동 참여했다.
록히드마틴은 보잉과 경쟁해 미 정부로부터 JSF프로젝트를 따냈다.F35의 강점은 역시 스텔스 기능.록히드마틴 관계자는 "F35는 적의 레이더에 거의 걸리지 않고 목표 지점까지 가 선제 공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존성과 정밀 타격능력 등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대당 4000만~4500만달러 수준(2002년 불변 가격 기준)으로 4세대 전투기인 F16과 비슷해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는 게 회사 측 주장이다.
부품 등 유지 비용도 F16에 비해 20%가량 저렴하다는 것.
록히드마틴은 이 같은 강점을 내세워 한국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한국 공군은 F15K급 20대를 추가 도입하는 사업이 끝나는 2012년 이후 노후 기종인 F4,F5를 대체하는 새 사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김은기 공군 참모총장도 2006년 참모차장 시절 국정 감사에서 F35 등의 도입 필요성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F35에 대해 일부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F35 개발에는 미국 등 9개국이 공동 참여하고 있어 그 외 국가에 대해선 기술 이전이 매우 힘들 것으로 보인다.대당 4000만~4500만달러라는 판매 가격도 사업 초기 책정한 것으로 예상보다 실제 수요가 줄어들면 대당 가격은 훨씬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포트워스(미 텍사스)=김수찬 기자 ksch@hankyung.com
고막을 찢는 듯한 굉음과 함께 1만2000피트의 활주로를 내달리던 F35 전투기가 육중한 몸체에도 불구하고 가뿐하게 공중으로 치솟아 오른다.전투기 중 가장 강력한 프랫&피트니의 F135 단발 엔진을 장착한 F35는 눈 깜짝할 사이 구름 속으로 모습을 감춘다.
뒤이어 5~6초 간격으로 F18과 F16이 F35와의 편대 비행을 위해 추격에 나선다.
지난 12일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있는 미 군수업체 록히드마틴의 전투기 생산공장.미 해군 합동 후방기지 건너편에 위치한 활주로에서 F35 첫 시험 제작기의 13번째 시험 비행이 있었다.F35의 시험비행 모습이 국내 언론에 공개되기는 처음이다.
록히드마틴 관계자는 "이날 시험 비행에서는 3만피트 상공을 선회 비행하며 엔진 체크,추력 점검 등을 한 후 1만5000피트에서 F16 등과 편대 비행하고 1만피트에서 또다시 추력 점검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F16 등 기존 전투기와 달리 스텔스(stealth) 기능 등을 갖춰 '제5세대 전투기'로 불리는 F35는 다국적 전투기이다.2001년부터 미국이 40조원 이상을 F35 개발 프로젝트인 JSF(Joint Strike Fighter)에 투자,최대 지분을 갖고 있다.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 터키 호주 등 8개국도 공동 참여했다.
록히드마틴은 보잉과 경쟁해 미 정부로부터 JSF프로젝트를 따냈다.F35의 강점은 역시 스텔스 기능.록히드마틴 관계자는 "F35는 적의 레이더에 거의 걸리지 않고 목표 지점까지 가 선제 공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존성과 정밀 타격능력 등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대당 4000만~4500만달러 수준(2002년 불변 가격 기준)으로 4세대 전투기인 F16과 비슷해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는 게 회사 측 주장이다.
부품 등 유지 비용도 F16에 비해 20%가량 저렴하다는 것.
록히드마틴은 이 같은 강점을 내세워 한국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한국 공군은 F15K급 20대를 추가 도입하는 사업이 끝나는 2012년 이후 노후 기종인 F4,F5를 대체하는 새 사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김은기 공군 참모총장도 2006년 참모차장 시절 국정 감사에서 F35 등의 도입 필요성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F35에 대해 일부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F35 개발에는 미국 등 9개국이 공동 참여하고 있어 그 외 국가에 대해선 기술 이전이 매우 힘들 것으로 보인다.대당 4000만~4500만달러라는 판매 가격도 사업 초기 책정한 것으로 예상보다 실제 수요가 줄어들면 대당 가격은 훨씬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포트워스(미 텍사스)=김수찬 기자 ksc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