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포스코 혼자 힘으론…
입력
수정
지난 26일 오후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허성관 광주과학기술원 원장,전광우 딜로이트코리아 회장,손욱 삼성SDI 상근상담역 등이 속속 모습을 드러냈다.
포스코 이사회에 사외이사 자격으로 참석하기 위해서다.이날 이사회의 주요 안건은 포스코와 현대중공업그룹 및 동국제강과의 상호 지분 교환.9명의 사외이사 중 7명이 참석한 이날 이사회에서 지분 교환 안건은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평소 이사회에서 견제역할을 해 온 사외이사들도 이날만큼은 포스코 경영진과 한마음이 됐다.
적대적 인수합병(M&A) 위협에 대비한 방어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포스코의 M&A 위기론은 현실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포스코를 M&A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목되고 있는 미탈이 경쟁사인 아르셀로를 인수할 때의 정황을 봐도 그렇다.
당시 아르셀로 주주인 일부 헤지펀드는 회사를 미탈에 넘기라고 아르셀로 경영진을 압박했다.포스코의 우호지분 40%가 결코 안전장치가 될 수 없다는 지적의 근거다.
포스코는 또 외국인 지분이 60%에 육박해 외국인 지분만 확보해도 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불안요인을 제거하려면 시가총액을 높이며 상호지분 교환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하지만 이런 노력은 기업의 고통이 뒤따르는 차선책일 뿐이다.
주식매입 자금 등 기업의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올 들어 자사주 취득에 1조원 가까운 돈을 쏟아 부었다.
국내 주요 상장기업이 M&A 방어를 위해 자사주 매입에 쏟아 붓는 돈이 한 해 7조원을 넘고 있다.
업계에서는 과도한 자사주 매입이 장기 투자를 저해하고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보다 못한 일부 국회의원들이 나서 미국의 엑슨-플로리오법처럼 국가 기간산업에 대한 적대적 M&A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정부가 반대하고 있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도 미흡한 상황이다.
지난 2005년 중국 석유회사가 미국 유노컬을 인수하려 했을 때 미국 의회는 정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야가 똘똘뭉쳐 이 법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개정을 시도했다.기간산업 보호를 위한 국회의 역할에 기대를 걸어본다.
송대섭 산업부 기자 dssong@hankyung.com
포스코 이사회에 사외이사 자격으로 참석하기 위해서다.이날 이사회의 주요 안건은 포스코와 현대중공업그룹 및 동국제강과의 상호 지분 교환.9명의 사외이사 중 7명이 참석한 이날 이사회에서 지분 교환 안건은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평소 이사회에서 견제역할을 해 온 사외이사들도 이날만큼은 포스코 경영진과 한마음이 됐다.
적대적 인수합병(M&A) 위협에 대비한 방어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포스코의 M&A 위기론은 현실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포스코를 M&A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목되고 있는 미탈이 경쟁사인 아르셀로를 인수할 때의 정황을 봐도 그렇다.
당시 아르셀로 주주인 일부 헤지펀드는 회사를 미탈에 넘기라고 아르셀로 경영진을 압박했다.포스코의 우호지분 40%가 결코 안전장치가 될 수 없다는 지적의 근거다.
포스코는 또 외국인 지분이 60%에 육박해 외국인 지분만 확보해도 경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불안요인을 제거하려면 시가총액을 높이며 상호지분 교환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하지만 이런 노력은 기업의 고통이 뒤따르는 차선책일 뿐이다.
주식매입 자금 등 기업의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올 들어 자사주 취득에 1조원 가까운 돈을 쏟아 부었다.
국내 주요 상장기업이 M&A 방어를 위해 자사주 매입에 쏟아 붓는 돈이 한 해 7조원을 넘고 있다.
업계에서는 과도한 자사주 매입이 장기 투자를 저해하고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보다 못한 일부 국회의원들이 나서 미국의 엑슨-플로리오법처럼 국가 기간산업에 대한 적대적 M&A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정부가 반대하고 있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도 미흡한 상황이다.
지난 2005년 중국 석유회사가 미국 유노컬을 인수하려 했을 때 미국 의회는 정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야가 똘똘뭉쳐 이 법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개정을 시도했다.기간산업 보호를 위한 국회의 역할에 기대를 걸어본다.
송대섭 산업부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