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취업포기자 1년만에 10만명 증가

취업의사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층(15~24세) 취업 포기자가 1년 사이 10만명이나 증가, 모두 41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경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8일 '최근의 실업률 하락 및 고용률 정체 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최근 실업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고용률이 정체되고 있는 것은 청년층에서 취업을 포기하는 순수 비(非)경제활동인구가 늘고 이로 인해 청년층의 고용률 기여도가 감소한 때문"이라고 밝혔다.KDI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층 가운데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는 418만6천900명으로 실망실업자(2만8천500명)와 경계실업자(4천400명)을 제외한 순수 비경제활동인구는 415만4천명에 달했다.

이 순수 비경제할동인구는 2005년에 비해 10만700명이나 증가한 것이다.

유 연구위원은 실망실업자와 경계실업자는 구직을 하지 않지만 취업의사가 있는 잠재실업자로 분류되고 청년층 순수 비경제활동인구에는 대학생 등 학생들이 포함돼 고학력화 현상도 청년층 순수 비경활동인구의 증가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이같은 청년층의 순수 비경제활동 인구증가는 전체 고용률에 대한 청년층의 기여도를 전년의 4.8%보다도 떨어진 4.2%에 그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고령층(25~64세)과 노령층(65세 이상)의 기여도는 각각 51.8%와 3.7%로 전년의 51.4%와 3.5%보다 상승했다.

청년층의 고용률 기여도는 중고령층이나 노령층과 달리 2002년 5.7% 이후 계속 감소하고 있다.또 우리나라의 청년층 고용률은 2005년 기준으로 30% 정도에 그쳐 40%를 웃돌고 있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덴마크 등 다른 나라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청년층의 이런 고용 부진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수요 측면)과 고학력화에 따른 청년층의 높은 기대수준(공급 측면)간에 큰 괴리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있다"고 유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그는 이에 따라 "정부의 고용정책 목표를 실업률에서 고용률로 바꾸고 청년층의 고용확대를 위해 교육과 노동시장의 성과를 효과적으로 연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 한경닷컴 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