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부실PF 워크아웃 나서 ... 금감원, 사업성 판단후 채무 재조정키로
입력
수정
저축은행들이 부실화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해 워크아웃(기업개선) 방식의 정상화 방안을 추진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9일 "여러 저축은행들이 공동으로 취급한 부동산 PF 대출 중 최근 부실화된 일부 대출건에 대해 업계 자율적으로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업계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부실 규모가 큰 2~3건의 부동산 PF 대출 2000억원 정도를 우선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은 통상 한 건의 PF 대출에 여러 저축은행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규모가 큰 PF 대출은 건당 500억~700억원 수준이다.감독당국 관계자는 "부실 PF 대출 정상화 방안은 일시적인 사업 중단 등으로 연체되고 있는 PF 대출건의 사업성을 업체 공동으로 심사한 뒤 사업 전망이 있다고 판단되면 연체이자를 탕감하는 등의 채무 재조정을 통해 사업 자체를 정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저축은행들은 부실 대출에 쌓아야 하는 충당금 적립 부담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약 12조원에 이르며 연체율은 작년 말 현재 9.6%에 달하고 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9일 "여러 저축은행들이 공동으로 취급한 부동산 PF 대출 중 최근 부실화된 일부 대출건에 대해 업계 자율적으로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업계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부실 규모가 큰 2~3건의 부동산 PF 대출 2000억원 정도를 우선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은 통상 한 건의 PF 대출에 여러 저축은행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규모가 큰 PF 대출은 건당 500억~700억원 수준이다.감독당국 관계자는 "부실 PF 대출 정상화 방안은 일시적인 사업 중단 등으로 연체되고 있는 PF 대출건의 사업성을 업체 공동으로 심사한 뒤 사업 전망이 있다고 판단되면 연체이자를 탕감하는 등의 채무 재조정을 통해 사업 자체를 정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저축은행들은 부실 대출에 쌓아야 하는 충당금 적립 부담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약 12조원에 이르며 연체율은 작년 말 현재 9.6%에 달하고 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