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복지 4년에 골병든 지방재정] (2) 심각한 '복지 모럴해저드'
입력
수정
기자에게 참여정부 복지사업의 맹점을 설명하던 김수한 서울시 강서구청 주민생활지원국장은 이런 얘기를 했다.
"기초생계급여를 받는 사람들을 전부 극빈층으로 보면 곤란합니다. 일을 하면서도 소득을 숨기거나,근로능력이 있는 데도 일을 안 하는 경우가 수두룩 합니다. 한마디로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죠. 엄격히 소득파악을 한다면 적게는 5~10%가,많게는 20~30%가 수급자격을 박탈당하게 될 겁니다."강서구청의 올해 기초생계급여 예산은 485억원인데 소득파악만 제대로 한다면 이 중 100억~130억원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소득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저소득층이 누군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기초생계급여를 주고 있다는 얘깁니다."
김 국장은 현장에 나가보면 생계급여를 받는 사람들 가운데는 아침에 버젓이 출근도 하고,심지어는 해외 여행에 나서는 사람들도 발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급자 20~30%는 무자격자?
보육료와 기초생계급여 예산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새나가는 혈세'를 막기 위해서라도 제대로 된 소득파악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무턱대고 지원 대상과 액수를 늘려서는 중앙 정부나,지자체나 재정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오순근 광주시 광산구 기획관리팀장은 "자영업자들의 소득 파악을 현실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갑자기 사업을 벌여 현장에서도 무리하고 있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며 "20~30%까지는 모르겠지만 상당수 허수가 있다는 점은 정부도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속도 조절도 시급
지방재정 담당자들은 재정의 유지 가능성도 염려하고 있다. 임승순 광주시 광산구청 예산 담당은 "중앙정부가 광역 자치구들의 복지 부담을 줄여 주겠다지만 그만큼을 누군가는 대신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처방은 될 수 없다"며 "복지사업 수급대상을 무섭게 늘리고 있는데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참여정부는 2005년부터 기초생계급여 수급 조건을 완화하기 시작해 2003년 137만4000명에 불과하던 수급자를 4년 만에 167만4000명(예산상 추정치)으로 22%나 늘려놨다. 그 사이 중앙정부 예산만 1조5500억원에서 2조6500억원으로 71% 급증했다. 기초생계급여사업은 소득수준이 최저생계비(4인 가족 120만6000원) 이하인 계층에 중앙정부(80%)와 광역시도(10%) 자치구(10%)가 생계비를 보태주는 사업이기 때문에 재정이 열악한 자치구들은 그 사이 만성적인 적자상태로 전락했다.
◆지자체들은 추경에 골머리
이 때문에 지자체들은 매년 하반기에 모자란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광주시 북구청의 경우 다음 달 약 1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짜야 한다. 손옥수 북구청 예산계장은 "재산세 과태료 등을 모두 긁어도 100억원 가운데 10억원도 모으기 힘들 것"이라고 걱정했다.
지역민 47만명 가운데 5%가 극빈층인 이 지자체는 올해 기초생계급여로 453억원을 쓸 예정인데 이 항목 하나가 △사회복지비의 36.8% △전체 예산의 5분의 1을 차지할 정도다. 여기에다 저소득층에 나가는 보육료 지원예산(301억원)까지 합하면 전체 예산의 34%를 차지해 다른 투자사업은 아예 생각조차 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것.
서울시 강서구청은 광주 북구청에 비해 그래도 나은 편이다. 생계급여와 보육예산을 합한 비중(29%)이나 그간 증가세가 북구청만큼은 아니었다. 그러나 앞날이 걱정이다. 구자찬 주민생활지원과 총괄기획팀장은 "서울 지역 집값들이 오르자 이 지역으로 이사 오는 저소득 계층이 늘고 있다"며 "지자체 간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걱정했다. 이 지역 기초생계수급자는 1992년 2219명에서 지난해 말 1만9608명으로 9배 늘었다.한편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정부가 지자체에 내려보낸 사회보장 관련 국고보조사업 예산 11조5000억원 중 77%가 보육료(1조8000억원)와 기초생활보장(7조원) 예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
"기초생계급여를 받는 사람들을 전부 극빈층으로 보면 곤란합니다. 일을 하면서도 소득을 숨기거나,근로능력이 있는 데도 일을 안 하는 경우가 수두룩 합니다. 한마디로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죠. 엄격히 소득파악을 한다면 적게는 5~10%가,많게는 20~30%가 수급자격을 박탈당하게 될 겁니다."강서구청의 올해 기초생계급여 예산은 485억원인데 소득파악만 제대로 한다면 이 중 100억~130억원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소득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저소득층이 누군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기초생계급여를 주고 있다는 얘깁니다."
김 국장은 현장에 나가보면 생계급여를 받는 사람들 가운데는 아침에 버젓이 출근도 하고,심지어는 해외 여행에 나서는 사람들도 발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급자 20~30%는 무자격자?
보육료와 기초생계급여 예산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새나가는 혈세'를 막기 위해서라도 제대로 된 소득파악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식으로 무턱대고 지원 대상과 액수를 늘려서는 중앙 정부나,지자체나 재정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오순근 광주시 광산구 기획관리팀장은 "자영업자들의 소득 파악을 현실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갑자기 사업을 벌여 현장에서도 무리하고 있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며 "20~30%까지는 모르겠지만 상당수 허수가 있다는 점은 정부도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속도 조절도 시급
지방재정 담당자들은 재정의 유지 가능성도 염려하고 있다. 임승순 광주시 광산구청 예산 담당은 "중앙정부가 광역 자치구들의 복지 부담을 줄여 주겠다지만 그만큼을 누군가는 대신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처방은 될 수 없다"며 "복지사업 수급대상을 무섭게 늘리고 있는데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참여정부는 2005년부터 기초생계급여 수급 조건을 완화하기 시작해 2003년 137만4000명에 불과하던 수급자를 4년 만에 167만4000명(예산상 추정치)으로 22%나 늘려놨다. 그 사이 중앙정부 예산만 1조5500억원에서 2조6500억원으로 71% 급증했다. 기초생계급여사업은 소득수준이 최저생계비(4인 가족 120만6000원) 이하인 계층에 중앙정부(80%)와 광역시도(10%) 자치구(10%)가 생계비를 보태주는 사업이기 때문에 재정이 열악한 자치구들은 그 사이 만성적인 적자상태로 전락했다.
◆지자체들은 추경에 골머리
이 때문에 지자체들은 매년 하반기에 모자란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광주시 북구청의 경우 다음 달 약 1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짜야 한다. 손옥수 북구청 예산계장은 "재산세 과태료 등을 모두 긁어도 100억원 가운데 10억원도 모으기 힘들 것"이라고 걱정했다.
지역민 47만명 가운데 5%가 극빈층인 이 지자체는 올해 기초생계급여로 453억원을 쓸 예정인데 이 항목 하나가 △사회복지비의 36.8% △전체 예산의 5분의 1을 차지할 정도다. 여기에다 저소득층에 나가는 보육료 지원예산(301억원)까지 합하면 전체 예산의 34%를 차지해 다른 투자사업은 아예 생각조차 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것.
서울시 강서구청은 광주 북구청에 비해 그래도 나은 편이다. 생계급여와 보육예산을 합한 비중(29%)이나 그간 증가세가 북구청만큼은 아니었다. 그러나 앞날이 걱정이다. 구자찬 주민생활지원과 총괄기획팀장은 "서울 지역 집값들이 오르자 이 지역으로 이사 오는 저소득 계층이 늘고 있다"며 "지자체 간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걱정했다. 이 지역 기초생계수급자는 1992년 2219명에서 지난해 말 1만9608명으로 9배 늘었다.한편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정부가 지자체에 내려보낸 사회보장 관련 국고보조사업 예산 11조5000억원 중 77%가 보육료(1조8000억원)와 기초생활보장(7조원) 예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