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5일자) 건설업체 잇단 도산 심상치 않다

최근 들어 중견 건설업체들의 도산(倒産)이 이어지고 있어 걱정이다.

한승건설에 이어 시공능력 순위 57위인 ㈜신일이 13일 부도처리됐다는 소식이다.대구 광주 부산 등에서 미분양아파트가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데다 금리마저 상승하면서 자금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쓰러진 것이다.

무엇보다도 흑자도산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심상치 않다.

지난해 180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는 등 몇년째 흑자행진을 거듭해온 신일은 37억원의 어음을 막지 못했고, 지난해 85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던 한승건설 역시 지난달 말 30억원의 어음을 결제하는 데 실패했다.이는 장부상으로는 재무상태가 좋은 건설사라 해도 지금과 같은 여건에선 언제 어떻게 될지 장담할 수 없음을 뜻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다.

물론 도산에까지 이른 것은 전적으로 기업들의 책임이지만 과연 정책적 오류는 없는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수도권에 편중된 주택투기를 잠재우기 위해 주택대출규제를 무차별적으로 실시하는 것 등은 지방 건설업체들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은 뻔한 노릇이다.또 아파트 공급이 넘치는 지방까지 투기과열지역으로 묶어 신규 아파트에 대한 수요를 억제시킨 조치가 지역 주택건설업체를 빈사(瀕死)의 지경으로 내몰았던 것은 아닌지도 검토해 볼 문제다.

이미 대한건설협회 회원사 중 부도업체가 지난 4월 6개사에서 5월에는 16개사로 급증했으며 이중 12곳이 지방사라는 점만 봐도 상황이 얼마나 나쁜 지가 한눈에 확인된다.

건설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을 고려할 때 더이상 사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신일발(發) 부도사태가 연쇄부도로 확산되어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

대형 건설업체들이 오는 9월부터 확대시행되는 분양가 상한제 등에 따른 사업성 악화로 신규 아파트 공급에 소극적인 가운데 중견 건설업체들마저 흔들리게 되면 향후 주택 공급 축소로 인한 수급불균형이 심화될 게 뻔하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뒤늦게나마 정부는 어제 지방의 투기과열지역을 조만간 해제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량 업체가 일시적인 자금 악화로 부도가 나지 않도록 유동성 지원을 늘릴 필요성이 있다. 또 지난 4월 발표한 지방중소건설업체 지원대책을 차질없이 시행하는 한편 보완조치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