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평창 … 동계올림픽 유치 또 실패] 기업들 '3만弗' 기폭제 삼으려 올인했는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실패는 한국 기업들에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지난 1년여 동안 삼성 두산그룹을 비롯해 현대기아차 LG 한진 SK 유진그룹 등은 '국익이 우선'이란 마음으로 평창 유치를 위해 뛰었다.이 때문에 이번 결과를 지켜본 기업들은 하나같이 "최선을 다했는데…"라며 안타까움을 금치 못했다.

유치 실패를 가장 아쉬워한 기업은 삼성그룹과 이건희 회장이다.

이 회장은 "평창유치는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여는 기폭제가 될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IOC위원으로서 올 상반기 평창 유치활동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지난 1월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평창 유치지원 회합'을 시작으로 2월에는 평창 보광휘닉스파크로 가 IOC의 실사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3월에는 유럽과 북아프리카에서 유치 활동을 펼쳤고 4월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스포츠어코드 행사에 참가해 자크 로게 IOC위원장과 33명의 IOC위원들을 만나 득표활동을 벌였다.

지난달 15일부터는 멕시코와 브라질 등 중남미 6∼7개국을 돌면서 현지 IOC위원들을 만난 데 이어 지난달 30일 과테말라에 도착,막바지 득표활동을 진두지휘했다.현대차그룹의 정몽구 회장은 이번 IOC 총회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평소 친분 있는 IOC위원들에게 친서를 보내 한 표를 호소하기도 했다.

정 회장은 과테말라 총회 개막에 맞춰 최재국 현대차 사장과 김용환 부사장(해외영업본부장) 등 11명을 현지에 급파하는 한편 유럽 아프리카 중남미 등 취약지역의 영업망을 활용하는 전방위 지원활동을 펼쳤다.

특히 IOC 위원과 친분이 있는 27개국 현지 딜러 사장들을 과테말라로 초청,IOC위원들의 표심을 다지도록 했다.또 평창유치위와 정부 수행단에 에쿠스와 오피러스 등 차량 45대를 지원했다.

과테말라에 파견된 청와대 관계자는 사석에서 "삼성,현대차그룹 등이 파워풀한 현지 조직망을 동원,열성적으로 지원해주고 있다"고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박용성 두산중공업 이사회 의장과 두산그룹도 총력전을 펼쳤다.

박 의장은 지난 4월 IOC위원 자격을 회복한 뒤 4월 말부터 석 달여 동안 평창 유치활동에 '올인'했다.

유럽 등지의 IOC위원들을 만나 평창 지지를 당부한 데 이어 지난달 29일 과테말라에 도착한 뒤에는 노무현 대통령,이건희 회장과 '삼각 편대'를 이뤄 득표활동에 매진했다.

SK그룹의 최태원 회장은 올해 한 달 평균 7∼8일을 해외에서 보내며 평창유치를 측면 지원했고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은 항공업계 인맥을 동원해 유치지원 활동을 벌이면서 과테말라로 떠나는 평창 유치단을 위해 특별 전세기를 띄웠다.

LG그룹도 중남미 법인 직원들을 과테말라에 파견했다.

또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과 강영중 대교 회장은 과테말라에서 친분이 있는 IOC위원을 상대로 득표활동을 벌였다.유치위 관계자는 "그동안 기업들이 세계 각 지역에서 다져온 네트워크를 가동,물밑에서 보이지 않게 움직이면서 정부의 유치 활동을 음양으로 지원했다"고 평가했다.

과테말라시티=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