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4일자) 삼성전자 2분기 실적이 뜻하는 것

삼성전자가 어제 발표한 2분기 영업실적은 결과만 보면 시장 예상대로 꽤 부진한 것이어서 주목해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실적 부진의 내용이나 부문별 영업결과를 자세히 뜯어보면 결코 실망하거나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보여진다.전체적인 이익규모는 전분기에 비해 줄었지만 반도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선방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경제전문가들은 최근의 D램가격 상승 등으로 보아 삼성전자가 2분기를 바닥으로 3분기 이후에는 매출이나 영업이익 등에서 호전(好轉) 국면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어서 오히려 기대가 큰 편이다.

그렇다고 전적으로 낙관할 일만은 결코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특히 이런 채산성 악화는 삼성전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산업계가 공통으로 직면하고 있는 현상이란 점에서 국가경제 차원의 특단대책 강구가 절실하다.

최근 삼성전자가 사업구조조정에 나선다거나 그동안 비교적 신경 쓰지 않았던 기업인수·합병(M&A)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바로 그런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본다.

예컨대 신수종사업의 발굴을 비롯 기존 제품의 기능 강화를 통한 부가가치 제고,부품소재 개발의 확대 등은 한시도 지체할 수 없는 현안(懸案)들이다.그러나 이는 기업의 노력만으로 극복하기에는 벅찬 과제다.

연구개발투자 지원은 물론 신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환경조성 등은 정부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필요한 M&A를 정부규제 때문에 못하거나 늦어지고,성장산업에 대한 신규투자가 제때 이뤄지지 못한다면 위기극복은 불가능하다.

정부가 더 이상 방관하거나 미적거릴 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