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설의 '경영 업그레이드'] 逆 80:20 법칙
입력
수정
맥 휘트먼은 1998년 이베이의 최고경영자(CEO)로 부임하자마자 마케팅부문 단합대회를 열었다. 마케팅팀과 함께 고객 자료를 세밀하게 검토하다 의미 있는 숫자를 찾아냈다. 20%의 고객이 매출의 80%를 올려주고 있었다. 핵심 고객을 별도로 관리하고 특별 대우를 해 주는 '파워셀러스(PowerSellers)' 프로그램은 이렇게 탄생했다. CEO가 하는 일은 바로 이런 것이다. 성과를 좌우하는 핵심 부문에 자원을 집중시킬 수 있어야 한다.
휘트먼 사장의 사례는 '80 대 20 법칙'이 현실에서 얼마나 유용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법칙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 파레토의 법칙이라고도 부른다.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파레토는 국민 소득의 분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상위 20%의 인구가 전체 소득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이 법칙을 가장 잘 활용해 온 부문이 바로 기업이다. 품질 경영을 예로 들면 전체 불량의 80%가 20%의 부품이나 공정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찾아낼 수 있다. 그래서 부품과 공정 모두를 신경 쓰는 게 아니라 '결정적인' 공정에만 집중해 품질을 눈에 띄게 개선할 수 있게 됐다. 경영혁신 방법론의 대표 격인 '6시그마'도 이 사고 방식을 바닥에 깔고 있다.
금융권에서 VIP 마케팅을 강화하는 것도 바로 이 핵심 20% 고객 집단에 집중하기 위한 노력이다. 이 법칙은 동물의 세계에도 적용될 정도로 보편적이다. 개미를 관찰해 보면 20% 정도만이 열심히 일하고,그 20%도 더 자세히 보면 그 가운데 80%는 일하는 시늉만 내고 있다고 한다.
자연의 순리와도 같은 이 법칙을 완전히 거스르는 분야가 있다. 바로 선거판이다. 여기에선 역(逆) 80 대 20 법칙이 더 잘 맞는 듯하다. 상위 20%를 모두 잡아도 패배하게 되니 말이다. 요즘 대선 정국을 보라. 선진 강국의 비전을 내놓지 않아도, 새 세계 질서에 대한 논의가 없어도, 경제와 문화에 대한 미래 예측에 무관심해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위 80%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에서 고급이란 어울리지 않는 모양이다. '누가 덜 못났느냐'의 싸움에서 이기면 족한 형국이다.물론 이제 시대가 바뀌어 파레토 법칙의 유용성이 많이 떨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마케팅 이론에서 최근 나온 '롱테일(Long Tail) 법칙'이 그렇다. 핵심 고객이 아니라 '사소한 다수(trivial majority)'가 상위 20%의 합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 골자다.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유통 경로가 다양해지고 소비자들이 가질 수 있는 정보가 크게 늘면서 이 법칙이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 경우도 80%를 소홀히 대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더 강하지 핵심인 20%를 도외시해도 된다는 주장은 아니다.
분명한 것은 나라 경영에서도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고 그 사고 방식의 근간은 여전히 80 대 20의 법칙이라는 점이다. 투자를 적게 하면서도 성과를 크게 낼 수 있는 부문을 찾아내고 거기에 집중해야 예산을 줄이면서도 나라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가닥이 잡히는 것이다. 80%의 개인들이란 응집력 없는 부동표로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현실론도 잊지 말아야 한다. 국가 CEO를 꿈꾸고 있는 정치 리더들이 핵심에 집중하는 경영의 힘과 사람들의 마음을 잡는 비전의 가치를 빨리 깨닫기를 바랄 뿐이다.
권영설 한경 가치혁신연구소장 yskwon@hankyung.com
휘트먼 사장의 사례는 '80 대 20 법칙'이 현실에서 얼마나 유용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법칙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 파레토의 법칙이라고도 부른다.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파레토는 국민 소득의 분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상위 20%의 인구가 전체 소득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이 법칙을 가장 잘 활용해 온 부문이 바로 기업이다. 품질 경영을 예로 들면 전체 불량의 80%가 20%의 부품이나 공정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찾아낼 수 있다. 그래서 부품과 공정 모두를 신경 쓰는 게 아니라 '결정적인' 공정에만 집중해 품질을 눈에 띄게 개선할 수 있게 됐다. 경영혁신 방법론의 대표 격인 '6시그마'도 이 사고 방식을 바닥에 깔고 있다.
금융권에서 VIP 마케팅을 강화하는 것도 바로 이 핵심 20% 고객 집단에 집중하기 위한 노력이다. 이 법칙은 동물의 세계에도 적용될 정도로 보편적이다. 개미를 관찰해 보면 20% 정도만이 열심히 일하고,그 20%도 더 자세히 보면 그 가운데 80%는 일하는 시늉만 내고 있다고 한다.
자연의 순리와도 같은 이 법칙을 완전히 거스르는 분야가 있다. 바로 선거판이다. 여기에선 역(逆) 80 대 20 법칙이 더 잘 맞는 듯하다. 상위 20%를 모두 잡아도 패배하게 되니 말이다. 요즘 대선 정국을 보라. 선진 강국의 비전을 내놓지 않아도, 새 세계 질서에 대한 논의가 없어도, 경제와 문화에 대한 미래 예측에 무관심해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위 80%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에서 고급이란 어울리지 않는 모양이다. '누가 덜 못났느냐'의 싸움에서 이기면 족한 형국이다.물론 이제 시대가 바뀌어 파레토 법칙의 유용성이 많이 떨어졌다는 주장도 있다. 마케팅 이론에서 최근 나온 '롱테일(Long Tail) 법칙'이 그렇다. 핵심 고객이 아니라 '사소한 다수(trivial majority)'가 상위 20%의 합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 골자다.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유통 경로가 다양해지고 소비자들이 가질 수 있는 정보가 크게 늘면서 이 법칙이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 경우도 80%를 소홀히 대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더 강하지 핵심인 20%를 도외시해도 된다는 주장은 아니다.
분명한 것은 나라 경영에서도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고 그 사고 방식의 근간은 여전히 80 대 20의 법칙이라는 점이다. 투자를 적게 하면서도 성과를 크게 낼 수 있는 부문을 찾아내고 거기에 집중해야 예산을 줄이면서도 나라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가닥이 잡히는 것이다. 80%의 개인들이란 응집력 없는 부동표로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현실론도 잊지 말아야 한다. 국가 CEO를 꿈꾸고 있는 정치 리더들이 핵심에 집중하는 경영의 힘과 사람들의 마음을 잡는 비전의 가치를 빨리 깨닫기를 바랄 뿐이다.
권영설 한경 가치혁신연구소장 yskw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