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외부악재가 세계증시를 얼마나 괴롭혔나? ..삼성

외부 변수의 돌출로 인해 세계 증시가 동반 하락했던 사례로, 지난 2004년 4월 차이나 쇼크와 2006년 5월 버냉키 쇼크가 있다.

이런 쇼크가 발생함에 따라 가격조정과 기간조정이 나타났지만, 그 폭과 기간은 다소 다르다. 이번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전세계 증시가 겪고 있는 홍역이 얼마나 길고 깊을지 아직은 가늠하기 어려워 보인다.

3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이들 두 차례의 쇼크가 발생했을 때 가격조정이 지속된 기간은 차이나 쇼크 때는 15일, 버냉키 쇼크 때는 21일에 이르렀다. 기간조정은 두 달 가량 진행됐다.

외국인 매도는 차이나 쇼크 때 2조6000억원, 버냉키 쇼크 때 3조2000억원을 각각 헤아렸다.황금단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조정 후 시장의 추가 하락 여부는 펀더멘털 훼손 정도에 따라 달라졌는데, 2004년 차이나 쇼크 때는 경기 및 기업실적 악화로 이어져 시장이 오랫동안 어려움을 겪었다고 소개했다.

이에 비해 버냉키 쇼크 때에는 유동성의 일시 위축에 그쳤을 뿐, 펀더멘털 악화로 비화되지 않아 기존 추세로 복귀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는 것.

황 애널리스트는 이번 미국의 서브프라임(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모기지 부실 사태는 펀더멘털과 유동성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아직 불확실한 변수라고 봤다. 돌발 악재의 출현으로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불확실성 제거가 필수적인데,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얼마나 경기/기업실적/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 실체를 드러낼 때까지 시장은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한경닷컴 이혜경 기자 vix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