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압박.조합원 낮은 찬성률, 현대차노조 파업 일단 유보

금속노조 현대자동차 지부(지부장 이상욱)가 파업에 대한 비난 여론과 조합원들의 낮은 파업 지지율 등을 감안해 파업을 일단 유보하고 3일 회사 측과 본교섭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노조가 조합원 파업찬반 투표를 통해 가결된 4,5일 이틀간의 합법적인 파업을 유보하고 쟁의조정기간이 끝나는 3일 회사 측과 본교섭을 재개키로 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지금까지 현대차 노사협상 과정은 협상 결렬선언→대의원대회의 쟁의행위 발생결의→전체 조합원 파업찬반투표(가결)→파업 돌입이 수순이었다.

이에 따라 3일 재개될 제11차 본교섭은 현대차 임단협 노사협상 사상 처음으로 무파업 타결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아니면 예년의 수순과 같은 파업이라는 파국을 선택할지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일 현대차 노사에 따르면 3일 오후 2시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윤여철 사장과 이상욱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장 등 노사 교섭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1차 본교섭을 갖는다.지난달 24일 제10차 본교섭에서 노조의 협상결렬 선언 후 10일 만이다.

노사는 본교섭에서 막판 타결을 위해 적극 나서는 한편 여의치 않을 경우 오는 5일까지를 협상 마감일로 보고 끝까지 조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해마다 파업을 되풀이해 온 현대차 노조 지도부가 '파업유보-협상재개'라는 결정을 내린 것은 무엇보다 비난 여론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울산 시민들은 물론 노조 내부에서조차 파업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 노조 지도부가 큰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장의 일반 노조원은 노조 게시판 등을 통해 무파업 협상 타결을 지지해왔다.

현대차의 '무파업 원년'을 바라는 울산시민들의 여론도 한몫 톡톡히 했다는 분석이다.시민사회단체 중심으로 음식값 할인은 물론 현대차 사주기 운동을 약속하며 현대차 노사의 무파업 타결을 진지하게 촉구한 것도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노조가 이번에 또 다시 파업을 벌일 경우 1995년 이후 13년 연속,올 들어서만 세 번째 파업을 벌이는 게 돼 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비난여론이 비등했다.

낮은 파업 찬성률도 노조 지도부를 크게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현장 조합원들의 반 파업 정서를 반영하듯 지난달 31일 전체 조합원을 상대로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 결과,찬성률이 62.95%로 예상보다 낮게 나왔다.

지금까지 임금협상 때마다 대부분의 노조원은 파업 찬성표를 던져 협상에 임하는 노조 집행부에 힘을 실어줬다.

따라서 올해 낮은 파업 찬성률은 반파업에 대한 일반 노조원들의 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반FTA파업 등 '정치파업' 외 임금협상과 관련된 현대차 노조원들의 파업 찬성률은 평균 70% 선을 넘어섰다.

2000년 54.2%(임협),2001년 70.3%(임단협),2002년 72.4%(임협),2003년 54.8%(임단협),2004년 69.7%(임협),2005년 70.9%(임단협),2006년 72.8%(임협) 등으로 나타났다.

2000년과 2003년 파업 찬성률이 50%대로 낮게 나온 것은 대우자동차 매각 반대나 산별 전환,비정규직 차별 철폐 등 노조의 임단협 투쟁에 정치적 이슈가 반영된 때문이다.

여기에 회사 측이 노조의 협상결렬에 앞서 이례적으로 1차 일괄협상안을 제시한 데 이어 윤여철 사장이 협상 중 노조 사무실을 직접 찾아 이상욱 지부장에게 본교섭 재개를 요청하는 등 전향적인 협상 타결 의지를 보인 파업 유보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현대차 노사 협상에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노조 요구안과 회사 측 제시안 간 격차가 너무 커 이를 좁히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노조의 요구안 중 판매감소 등으로 인한 물량부족시 잔업보장과 해외물량의 국내 이전,신프로젝트 개발시 노조와 합의 결정 등 회사 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안들이 많다.

이 때문에 노사협상이 결렬돼 파업으로 치달을 공산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일부 강성 노조원들의 반발도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현대차 노조 지부장의 임기가 올 연말이어서 이번 임단협은 차기 집행부를 노리는 현장 노동조직들 간 선명성 경쟁의 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노조 지도부가 회사와 맺은 협상 결과를 깎아내리며 강경투쟁으로 몰아갈 공산도 크다는 것.현대차 현장 조직은 현자실천노동자회와 자주노동자회,민주노동자회,민주노동자투쟁위원회,현장연대 등 무려 7개에 이른다.

합리주의 노동운동을 표방하는 신노동연합의 한 관계자는 "노조 지도부도 문제지만 파업철회 여론이 더 없이 높은데도 이 같은 정서를 지도부에 제대로 전달하지 않고 강성 파업관성만 부추기는 현장 활동가들이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현대차 노조는 이 같은 노조 내 계파 간 알력 때문에 2001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시키기도 했다.앞서 회사는 지난 10차 본교섭에서 현대차 노사협상 역사상 유례없이 임금 7만8000원 인상,성과급 300% 지급,일시금 100만원 지급 등 동종업계의 임단협 타결 수준을 상회한 첫 일괄제시안을 냈지만 노조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며 수용을 거부하고 협상 결렬을 선언했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