梨大출신 옥스퍼드大 물리학과 교수 유기체 초전도 현상 원리 밝혔다

이화여대를 나와 영국 옥스퍼드대학 물리학과에 재직 중인 남문순 교수(37)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유기 물질에서의 초전도 현상'에 대한 기본 원리를 밝혀내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연구는 '전기의 저항 없이 영원히 흐르는 전류'인 초전도의 이해폭을 넓히고 새로운 플라스틱 초전도체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남 교수는 이 연구에서 부도체인 유기 물질이 고온에서는 초전도의 실현이 어렵고 저온에서 안정적으로 초전도 현상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유기 물질은 보통 온도를 낮추면 저항이 떨어지며 금속성 성질을 갖게 된다.

이 물질에 온도를 더 낮추면 초전도체 특성을 띤다.그러나 고온에서는 유기 물질이 초전도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남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Cu[N(CN)2]Cl,Cu[N(CN)2]Br 등과 같은 유기 화합물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즉 이 물질들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원래의 온도와 가성 온도 간 차이가 벌어지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남 교수는 이화여대 물리학과를 나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2000년 옥스퍼드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올해 옥스퍼드대학 조교수로 임용됐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