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생물주권' 선포 ‥ 생물자원확보戰 본격참여

정부가 10일 국가생물주권을 선포한 것은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생물자원 확보경쟁에 뛰어들겠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한국은 그동안 국내에 어떤 생물이 존재하는지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이를 총괄하는 기관도 전무했다. 산업화에 치중한 결과다. 하지만 선진국들은 자국뿐만 아니라 외국의 생물자원까지 수집해 종자를 보존하고 상품화했다. 이젠 생물을 바이오 산업의 핵심원료로 활용하는 단계에 이르렀다.정부가 11일부터 인천에서 국립생물자원관 개관을 계기로 국내 권역별 생물자원을 관리할 6개 지역생물자원관을 추가로 건립하겠다고 밝힌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정부자료에 따르면 한반도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종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자료가 없다. 전체 생물종이 10만종 정도에 이를 것이란 추정만 있을 뿐이다. 확실하게 파악하고 있는 종은 10만종 중 약 30% 정도다.

이런 수준이다 보니 일본이나 미국이 20세기 초부터 한국 생물자원을 수집해 반출해 나가는 데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도 못했다. 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관상수인 '미스킴 라일락'이나 크리스마스트리로 각광받는 '구상나무',백합의 원조로 알려진 '원추리 꽃' 등은 한반도의 자생식물이지만 무관심 속에 해외로 반출됐다. 이들 식물은 해외에서 고부가 생물상품으로 개발돼 역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1992년 생물다양성협약 발표 이후 각국의 국가소유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이 인정되면서 생물자원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이미 선진국들은 18~20세기 초부터 국가 차원에서 자연사박물관 등 생물자원관을 건립,자국의 생물자원을 조사했다. 생물종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했다. 미국의 경우 1176개에 달하는 생물자원관을 운영 중이며 생물분류 연구에만 매년 4억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