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 의견 무시한 방송위 결정은 무효"
입력
수정
TV중간광고 공청회 … 시민단체도 강력반발
"방송위원회는 TV중간광고 허용 절차도 내용도 다 건너 뛰었다.기본적으로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이 '시청권 회수'라는 명제를 부인할 수 없다."(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찬반 논의를 거치지 않은 이번 공청회는 성격 자체가 잘못 돼 있다.마치 결혼할 생각이 없는 사람에게 '결혼해서 어디서 살거냐'고 묻는 것과 마찬가지다."(정연우 세명대 교수)
"방송위원회의 TV중간광고 확대 결정이 미디어 매체 간의 '부익부 빈익빈'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현재의 밀어붙이기식 정책을 중단하고 차기 정부에서 충분한 검토를 거쳐 결론을 내야 한다."(김택환 한국신문협회 정책기획자문위원)방송위원회가 14일 오후 3시 목동 방송회관 3층에서 개최한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범위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는 중간광고 확대 파장과 절차상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비판이 잇따랐다.
지난 2일 방송위가 기존 스포츠중계나 대형 행사 이외에 드라마나 영화,오락프로그램 등에도 중간에 광고를 허용하는 결정을 내린 데 대해 국민 70.6%가 반대(리얼미터 여론조사)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시민단체 측 토론자로 나선 노영란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 운영위원장은 "방송위는 중간광고 허용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한번도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물어본 적이 없다"며 "이제 결정했으니 그냥 따라오라는 것은 시청자들을 완전히 무시하는 행위"라고 분개했다.그는 또 "중간광고 허용 자체가 쟁점이 되어야할 상황에서 이런 공청회를 하자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방송위가 제시한 방안에 대해서는 일체 코멘트를 하지 않겠다"고 일축했다.
디지털방송 전환에 따른 재원마련을 위해 중간광고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주장에 대한 비판도 줄을 이었다.
방효선 CJ미디어 영업본부장은 "케이블 업계는 중간광고 확대를 '사형선고'로 받아들이고 있는데,중간광고 허용이 가져올 영향을 분석한 방송위의 자료와 수치들은 너무 왜곡돼 있다"고 지적했다.예를 들어 방송위가 지상파 방송의 광고매출이 2002년 2조7452억원(전체 광고시장의 39.6%)에서 지난해 2조4687억원(31.8%)으로 감소했다는 수치를 제시하며 '지상파 위기론'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2년은 월드컵 때문에 대기업(SK텔레콤) 한 곳만 600억원 이상을 광고비로 쓸 정도로 특수를 누린 시기"라며 "2002년과 지난해 실적을 비교하는 것은 무슨 의도냐"고 따졌다.
또 중간광고의 파장이 크지 않다고 하지만 확대 발표 이후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지는 주식시장에서 지상파인 SBS는 크게 오른 반면,케이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인 온미디어는 급락했다는 사실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김택환 위원은 "지상파방송들이 디지털방송 전환 때문에 많은 재원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디지털방송 특별법이 아직 국회 상정 중인 만큼 다른 방안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김상훈 인하대 교수나 박원기 한국방송공사 연구위원 등 중간광고 확대에 찬성하는 토론자들은 "광고량 자체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케이블 수준으로 지상파의 중간광고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방송위원회는 TV중간광고 허용 절차도 내용도 다 건너 뛰었다.기본적으로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이 '시청권 회수'라는 명제를 부인할 수 없다."(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찬반 논의를 거치지 않은 이번 공청회는 성격 자체가 잘못 돼 있다.마치 결혼할 생각이 없는 사람에게 '결혼해서 어디서 살거냐'고 묻는 것과 마찬가지다."(정연우 세명대 교수)
"방송위원회의 TV중간광고 확대 결정이 미디어 매체 간의 '부익부 빈익빈'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현재의 밀어붙이기식 정책을 중단하고 차기 정부에서 충분한 검토를 거쳐 결론을 내야 한다."(김택환 한국신문협회 정책기획자문위원)방송위원회가 14일 오후 3시 목동 방송회관 3층에서 개최한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범위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는 중간광고 확대 파장과 절차상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비판이 잇따랐다.
지난 2일 방송위가 기존 스포츠중계나 대형 행사 이외에 드라마나 영화,오락프로그램 등에도 중간에 광고를 허용하는 결정을 내린 데 대해 국민 70.6%가 반대(리얼미터 여론조사)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시민단체 측 토론자로 나선 노영란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 운영위원장은 "방송위는 중간광고 허용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한번도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물어본 적이 없다"며 "이제 결정했으니 그냥 따라오라는 것은 시청자들을 완전히 무시하는 행위"라고 분개했다.그는 또 "중간광고 허용 자체가 쟁점이 되어야할 상황에서 이런 공청회를 하자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방송위가 제시한 방안에 대해서는 일체 코멘트를 하지 않겠다"고 일축했다.
디지털방송 전환에 따른 재원마련을 위해 중간광고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상파 방송사들의 주장에 대한 비판도 줄을 이었다.
방효선 CJ미디어 영업본부장은 "케이블 업계는 중간광고 확대를 '사형선고'로 받아들이고 있는데,중간광고 허용이 가져올 영향을 분석한 방송위의 자료와 수치들은 너무 왜곡돼 있다"고 지적했다.예를 들어 방송위가 지상파 방송의 광고매출이 2002년 2조7452억원(전체 광고시장의 39.6%)에서 지난해 2조4687억원(31.8%)으로 감소했다는 수치를 제시하며 '지상파 위기론'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2년은 월드컵 때문에 대기업(SK텔레콤) 한 곳만 600억원 이상을 광고비로 쓸 정도로 특수를 누린 시기"라며 "2002년과 지난해 실적을 비교하는 것은 무슨 의도냐"고 따졌다.
또 중간광고의 파장이 크지 않다고 하지만 확대 발표 이후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지는 주식시장에서 지상파인 SBS는 크게 오른 반면,케이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인 온미디어는 급락했다는 사실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김택환 위원은 "지상파방송들이 디지털방송 전환 때문에 많은 재원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디지털방송 특별법이 아직 국회 상정 중인 만큼 다른 방안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김상훈 인하대 교수나 박원기 한국방송공사 연구위원 등 중간광고 확대에 찬성하는 토론자들은 "광고량 자체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케이블 수준으로 지상파의 중간광고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