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1분기 900弗 간다"…온스당 863弗로 급등
입력
수정
미 달러 약세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으로 '안전자산'인 금의 인기가 고공 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1분기 중 국제 금값이 온스당 900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 보도했다.
국제 금 시세는 올 들어 첫 거래일인 지난 2일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기록하자 온스당 861.10달러까지 올라 28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3일엔 온스당 866.40달러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지난주 말엔 경계 매물 때문에 다소 밀려 863.10달러로 장을 마쳤다.
UBS의 로빈 바 상품전략가는 "최근 금값 상승세는 공급은 탄탄한 반면 장신구용 금 소비가 많은 인도의 수요가 다소 부진한 가운데서 진행됐다"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어났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USA골드의 피터 그란트 선임 애널리스트는 "일반인들이 금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간접투자 상품 '금 ETF(상장지수펀드)'의 인기도 금값의 상승세를 떠받치고 있다"고 분석했다.불리온데스크의 제임스 무어 애널리스트는 "파키스탄 등의 정국 불안과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 등 국제 금 가격을 밀어올리는 요인이 많다"며 "금값은 오는 3월 말께 온스당 900달러 선을 두드리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도 "금값 상승 추세는 살아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시장 일각에서 '금값 조정론'을 제기하고 있어 '묻지마 투자'는 금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로빈 바 상품전략가는 "금은 가격 널뛰기가 심한 상품"이라며 "온스당 900달러를 테스트하기 전에 50달러 안팎의 가격 조정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
국제 금 시세는 올 들어 첫 거래일인 지난 2일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기록하자 온스당 861.10달러까지 올라 28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3일엔 온스당 866.40달러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지난주 말엔 경계 매물 때문에 다소 밀려 863.10달러로 장을 마쳤다.
UBS의 로빈 바 상품전략가는 "최근 금값 상승세는 공급은 탄탄한 반면 장신구용 금 소비가 많은 인도의 수요가 다소 부진한 가운데서 진행됐다"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어났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USA골드의 피터 그란트 선임 애널리스트는 "일반인들이 금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간접투자 상품 '금 ETF(상장지수펀드)'의 인기도 금값의 상승세를 떠받치고 있다"고 분석했다.불리온데스크의 제임스 무어 애널리스트는 "파키스탄 등의 정국 불안과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 등 국제 금 가격을 밀어올리는 요인이 많다"며 "금값은 오는 3월 말께 온스당 900달러 선을 두드리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도 "금값 상승 추세는 살아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시장 일각에서 '금값 조정론'을 제기하고 있어 '묻지마 투자'는 금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로빈 바 상품전략가는 "금은 가격 널뛰기가 심한 상품"이라며 "온스당 900달러를 테스트하기 전에 50달러 안팎의 가격 조정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