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도 더 내고 덜 받게" … 9월 정기국회서 처리
입력
수정
내년 이후 신규 임용되는 공무원들은 국민연금과 똑같은 보험료와 연금을 지급받을 전망이다.
복무 중인 공무원들도 그동안 낸 보험료는 현재의 연금수급 체계에 따라 그대로 받지만,앞으로 내는 보험료는 새로 바뀌는 국민연금과 똑같은 보험료율과 연금지급률을 적용받는다.정부의 한 관계자는 9일 "차기 정부는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을 통합해 '더 내고 덜 받는' 쪽으로 고치면서 공무원연금법도 함께 이 같은 방향으로 개정해 9월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 출범 후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적잖은 가입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1월 행정자치부 산하 공무원연금제도 개선위원회에서 낸 개혁 방안은 기존 공무원들이 전혀 손해를 보지 않는 안이었으나 이런 방안으로는 국민들의 이해를 구할 수 없다며 기존 공무원들도 손해를 분담하는 방향으로 연금법이 손질될 것으로 내다봤다.구체적으로 현행 11.05%(본인부담 5.525%) 수준인 보험료율은 국민연금 개혁안 수준(10.5~14%)으로 소폭 조정되지만 연금수령액은 가입기간 평균 월 소득액의 80~90%에서 40~50%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신 공무원노조 등 공무원 사회의 집단 반발을 감안해 개인연금조의 저축계정을 신설,공무원 본인이 월 소득의 1%(또는 이상)를 적립하면 그만큼을 정부가 예산으로 적립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재 민간 기업의 10~60% 수준인 퇴직금도 100% 수준으로 올려 공무원 사회의 반발을 어느 정도 누그러뜨린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한 연금 전문가는 "공무원연금 개혁 과정에서 노조의 조직적 반발이 예상되지만 저축계정이나 퇴직금 상향폭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협상 성공 여부가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올해 국민들이 메워야 하는 공무원연금 적자는 1조2684억원이다.적자 규모는 △2010년 2조1047억원 △2020년 10조5656억원 △2030년 24조5693억원 △2040년 36조3335억원 △2050년 49조9047억원 등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
복무 중인 공무원들도 그동안 낸 보험료는 현재의 연금수급 체계에 따라 그대로 받지만,앞으로 내는 보험료는 새로 바뀌는 국민연금과 똑같은 보험료율과 연금지급률을 적용받는다.정부의 한 관계자는 9일 "차기 정부는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을 통합해 '더 내고 덜 받는' 쪽으로 고치면서 공무원연금법도 함께 이 같은 방향으로 개정해 9월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 출범 후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적잖은 가입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1월 행정자치부 산하 공무원연금제도 개선위원회에서 낸 개혁 방안은 기존 공무원들이 전혀 손해를 보지 않는 안이었으나 이런 방안으로는 국민들의 이해를 구할 수 없다며 기존 공무원들도 손해를 분담하는 방향으로 연금법이 손질될 것으로 내다봤다.구체적으로 현행 11.05%(본인부담 5.525%) 수준인 보험료율은 국민연금 개혁안 수준(10.5~14%)으로 소폭 조정되지만 연금수령액은 가입기간 평균 월 소득액의 80~90%에서 40~50%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신 공무원노조 등 공무원 사회의 집단 반발을 감안해 개인연금조의 저축계정을 신설,공무원 본인이 월 소득의 1%(또는 이상)를 적립하면 그만큼을 정부가 예산으로 적립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재 민간 기업의 10~60% 수준인 퇴직금도 100% 수준으로 올려 공무원 사회의 반발을 어느 정도 누그러뜨린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한 연금 전문가는 "공무원연금 개혁 과정에서 노조의 조직적 반발이 예상되지만 저축계정이나 퇴직금 상향폭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협상 성공 여부가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올해 국민들이 메워야 하는 공무원연금 적자는 1조2684억원이다.적자 규모는 △2010년 2조1047억원 △2020년 10조5656억원 △2030년 24조5693억원 △2040년 36조3335억원 △2050년 49조9047억원 등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