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용 경제교과서 만드는 이유는‥경제지식 美ㆍ日보다 턱없이 부족

서울 덕수고등학교의 권재원 교사(45)는 지난해 5월부터 수업 시간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발간한 '고교 차세대 경제교과서 모형'을 사용하고 있다.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읽을거리가 풍부하고 그래프 등 경제 교육에 유용한 요소도 많다는 것이 권 교사의 설명이다.고교 경제교과서는 450쪽 분량으로 일반교과서(250쪽)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

학교에 비치된 책이 두 권뿐이어서 수업 시간 전에 필요한 부분을 복사해 학생들에게 나눠줘 보조 자료로 쓸 수 있게끔 하고 있다.

권 교사는 "일상생활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는 사례가 많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GNI(국민총소득) 등 기존 교과서에서는 배우기 힘든 개념들도 충실히 설명해주고 있다"고 말했다.'고교 차세대 경제교과서 모형'이 발간된 지 8개월 정도 지났다.

일선 교사들은 대부분 "수업 시간에 활용해 본 결과 학생들이 시장경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게 됐다"는 평가다.

이 고교용 경제교과서는 현재까지 총 4만6000부가량이 배포됐다.전경련 측은 "지금도 경제교과서를 받아보고 싶어하는 교사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이 오는 2월 중학생용 경제교과서를 만들기로 결정한 것은 고등학생용 경제교과서의 성공에 힘입은 바 크다.

중학생들에게도 올바른 경제지식을 심어주자는 것이다.전경련 관계자는 "2학년 때부터 경제를 별도과목으로 배우게 돼 있는 고교 과정과 달리 중학교 과정에는 경제 과목이 따로 없고 사회 과목에 통합돼 이뤄지고 있는 점도 중등용 경제교과서를 만들게 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총 7단원 가운데 2단원만이 경제에 할애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일찍이 경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해 유치원 때부터 체계적으로 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미국은 학교와 민간단체의 긴밀한 협의 아래 경제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특징으로 미국경제교육협의회(NCEE) 등 비정부기구들이 큰 역할을 맡고 있다.

NCEE는 유치원부터 고교 졸업 때까지 단계별로 80여종의 다양한 경제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일선 교사들은 이를 수업에 활용한다.

일본 역시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생산ㆍ소비 활동 등 기초적인 경제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경제관념을 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런 교육 덕분에 미국과 일본 고교생의 경제 이해력은 우리나라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미국 고교생의 경제 이해력 수준은 61.2점,일본은 57.3점,한국은 55.7점으로 한국이 세 나라 중 꼴지였다.

중학생의 경우 격차가 더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전택수 한국경제교육학회 회장은 "소비 등 경제 활동에 대해 본격적으로 눈뜨기 시작하는 중학생들에게 경제 마인드를 심어줘야 한다"며 "이 같은 경제교육은 소비자로서 올바른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직장 등 사회 생활을 시작할 때 효과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박동민 대한상의 윤리경영팀장은 "기업의 부정적인 면을 먼저 가르치는 현재의 교육제도 아래서는 학생들이 올바른 경제 개념을 가지기 어렵다"면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경제지식을 가르치는 것은 한국 경제의 경쟁력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호/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