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OMC 이후 관전 포인트는-굿모닝신한
입력
수정
굿모닝신한증권은 31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관전포인트로 미 금리인하의 상승 모멘텀 작용과 수급 구도의 붕괴 움직임 심화 여부 등을 꼽았다.
이 증권사 김중현 연구원은 "FOMC회의 이후 국내 증시는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며 "미국의 금리인하가 급락장세에서 상승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여부와 국내 기관이 주도하고 있는 수급구도의 붕괴 움직임이 얼마나 심화될 것인지 여부가 관전 포인트"라고 밝혔다.그러나 지난주 처음으로 장중 1600선이 무너진 직후에 발표된 미국의 긴급 금리인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의 금리인하는 증시의 추세적인 반등을 가져올 수 있는 모멘텀이라기보다는 추가적인 하락 리스크를 완화해줄 수 있는 모멘텀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타당하다는 분석이다.
금리인하가 심리적인 측면에서 불러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임에도 불구하고, 당장 직면해 있는 채권보증기관들의 부실 논란이나 금융기관들의 추가 부실 발생에 대한 우려감이 투자심리의 개선을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는 "오히려 상승 모멘텀으로 본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암박(Ambac) 등 채권보증기관들에 대한 구제금융 지원안의 타결이나 아직까지 금리인하 정책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인하 결정 여부 등에 주목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또 국내 증시에서의 수급 구도에 대해서는 그동안 주식형 펀드로의 자금유입이 꾸준히 유지되는 속에서 투신권은 관망세 혹은 오히려 반등시 비중축소의 관점을 이어왔으며 최근에는 조선과 기계 등 지난해 주도업종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매도에 나서면서 전일 관련업종들의 급락세를 불러왔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지금은 매도 시점은 분명히 아니지만 당분간 매수 대응 역시 수급구도 개선이 확인될 수 있는 시점까지 미루는 편이 낫다고 김 연구원은 제시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
이 증권사 김중현 연구원은 "FOMC회의 이후 국내 증시는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며 "미국의 금리인하가 급락장세에서 상승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여부와 국내 기관이 주도하고 있는 수급구도의 붕괴 움직임이 얼마나 심화될 것인지 여부가 관전 포인트"라고 밝혔다.그러나 지난주 처음으로 장중 1600선이 무너진 직후에 발표된 미국의 긴급 금리인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의 금리인하는 증시의 추세적인 반등을 가져올 수 있는 모멘텀이라기보다는 추가적인 하락 리스크를 완화해줄 수 있는 모멘텀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타당하다는 분석이다.
금리인하가 심리적인 측면에서 불러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임에도 불구하고, 당장 직면해 있는 채권보증기관들의 부실 논란이나 금융기관들의 추가 부실 발생에 대한 우려감이 투자심리의 개선을 제약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는 "오히려 상승 모멘텀으로 본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암박(Ambac) 등 채권보증기관들에 대한 구제금융 지원안의 타결이나 아직까지 금리인하 정책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인하 결정 여부 등에 주목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또 국내 증시에서의 수급 구도에 대해서는 그동안 주식형 펀드로의 자금유입이 꾸준히 유지되는 속에서 투신권은 관망세 혹은 오히려 반등시 비중축소의 관점을 이어왔으며 최근에는 조선과 기계 등 지난해 주도업종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매도에 나서면서 전일 관련업종들의 급락세를 불러왔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지금은 매도 시점은 분명히 아니지만 당분간 매수 대응 역시 수급구도 개선이 확인될 수 있는 시점까지 미루는 편이 낫다고 김 연구원은 제시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