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지주, “자산건전성 부진 걱정된다”
입력
수정
하나금융지주, “자산건전성 부진 걱정된다”18일 4분기 실적발표에서 다른 은행들과 비교해 유독 부진했던 하나금융지주의 자산건전성 수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신규 부실여신 발생 금액은 전분기대비 100.9% 늘어나며 은행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이자보상배율(Coverage ratio)도 169.07%에 머무르며 은행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요주의 여신도 전분기대비 31.1%(2767억원) 증가해 은행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백동호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하나은행이 요주의 여신 증가 요인으로 가계형 소호대출이 기존 가계대출 신용등급에서 기업대출 신용등급으로 전환되면서 요주의가 2447억원 증가한 것으로 설명하고는 있지만, 이 같은 일회성 요인을 감안해도 하나은행이 자산건전성 부분에서 다른 은행에 비해 가졌던 전통적 강점은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대신증권도 “하나은행의 4분기 중 총여신대비 요주의이하여신 순증 비율이 0.49%로, 부산은행을 제외하고 은행 중 가장 높았다”며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를 표시했다.
또한 하나금융은 고정이하 여신대비 커버리지 비율이 171.6%로 절대적인 수치는 높지만, 2007년 말 기준 금감원 요구적립액 대비 충당금 잔액 비율은 10.5%로 부산은행을 제외하고 은행 중 가장 낮았다고 전했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금감원 요구적립액 대비 충당금 잔액 비율이 100%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다른 은행보다 하나은행이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산업 전반적으로 자산건전성 악화가 지속될 경우 대손비용 부담이 다른 은행들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날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다.
한편, NH투자증권은 자산건전성이 악화되긴 했지만 연체율이 감소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할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김은갑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하나은행의 요주의여신 비율이 전분기 대비 31% 상승해 자산건전성은 전분기 대비 악화됐지만, 연체율은 0.64%로 전분기 대비 14% 하락했고, 상각 전 실질연체율도 전분기대비 5% 하락해 자산건전성이 크게 우려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봤다. 18일 오전 10시 28분 현재 하나금융지주는 전일대비 0.23%(100원) 하락한 4만3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경닷컴 이혜경 기자 vix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