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일자) 예사롭지 않은 美달러약세 파장

국제외환시장에서 주요 통화들의 환율이 요동을 치고 있다.

유로화는 사상 처음 유로당 1.5달러선을 넘어섰고 엔화 가치도 달러당 103엔대에 진입하며 약 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심화되는 달러 약세는 국내 경제에도 큰 파급영향을 미칠 게 분명한 만큼 걱정이 적지 않다.

최근의 달러 약세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앞지를 정도로 진행속도가 빠르다.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율 0.6%에 그치면서 미 경기침체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늘고 있는 게 주요 원인이다.특히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지금 상황은 2001년의 기술주 버블 때보다 더 어렵다"고 털어놔 이런 추세를 가속화시켰다.

달러 약세는 원화가치 상승을 유발해 우리 경제에도 부정적 파급 영향을 낳게 마련이다.

물론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 다른 주요 통화 가치도 함께 상승하고 있어 충격이 다소 완화(緩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하지만 자원빈국인 우리나라가 달러 약세와 이에따른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은 자명한 이치다.

배럴당 100달러선을 웃도는 국제유가를 비롯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원자재 및 국제곡물 가격이 외화유출과 기업경쟁력 약화로 직결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지난 1월 경상수지가 11년 만의 최대 적자를 기록한 것만 봐도 그 심각성이 단적으로 드러난다.따라서 우리로서는 환율을 적절히 유지해나가는 것 만큼 중요한 과제도 없다.

마침 강만수 신임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인사청문회에서 "어느 선진국도 환율을 시장 자율(自律)에 완전히 맡기지 않는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해야 한다고 본다"며 환율주권론을 강조했다.

필요할 경우 외환시장 움직임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셈이다.

충분히 공감이 간다.

원화가치가 우리 실력에 비해 과도하게 오르며 경제 안정을 위협하는데도 그냥 방치한다면 그것은 결코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려운 까닭이다.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무 때나 시장에 개입하며 통화가치를 왜곡시켜도 좋다는 뜻은 아니다.

따라서 당국은 시장원리가 최대한 존중되는 가운데서도 환율이 안정적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 운용의 묘(妙)를 살려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