얌체 소비자 급증 '골머리'…기업 87% "부당한 요구경험"
입력
수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문제가 있다며 과도한 요구를 하는 소비자들 때문에 기업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소비자 관련 애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고객들의 부당한 요구가 '빈번'(50.1%)하거나 '가끔'(37.1%)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87.1%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3월 조사 때의 61.1%에 비해 26%포인트 증가했다.소비자 주권이 널리 인식되고 소비자 피해 구제도 활발하게 이뤄지는 것에 편승한 '악덕 소비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당한 요구는 유형별로 '과도한 보상'(53.7%)이 가장 많았고 '규정에 없는 환불ㆍ교체'(32.4%) 등의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구입한 쌀 한 포대를 거의 다 먹은 상태에서 벌레가 나왔다며 대형 마트에서 소란을 피워 새 쌀을 받아가거나 고의로 교통사고를 내고 보험금과 실직 보상금을 함께 요구하는 등 부당 요구 사례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응답 업체들 대부분(75.8%)은 지나친 요구임을 알면서도 기업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미희 기자 iciici@hankyung.com
대한상공회의소는 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소비자 관련 애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고객들의 부당한 요구가 '빈번'(50.1%)하거나 '가끔'(37.1%)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87.1%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3월 조사 때의 61.1%에 비해 26%포인트 증가했다.소비자 주권이 널리 인식되고 소비자 피해 구제도 활발하게 이뤄지는 것에 편승한 '악덕 소비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당한 요구는 유형별로 '과도한 보상'(53.7%)이 가장 많았고 '규정에 없는 환불ㆍ교체'(32.4%) 등의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구입한 쌀 한 포대를 거의 다 먹은 상태에서 벌레가 나왔다며 대형 마트에서 소란을 피워 새 쌀을 받아가거나 고의로 교통사고를 내고 보험금과 실직 보상금을 함께 요구하는 등 부당 요구 사례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응답 업체들 대부분(75.8%)은 지나친 요구임을 알면서도 기업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미희 기자 iciici@hankyung.com